시대의 거부로 이어진 자유와 치열한 양심의 시인 김수영을 기리기 위하여 1981년 제정된 김수영 문학상은,제1회 정희성 <저문 강에 삽을 씻고>, 제2회 이성복 <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 제3회 황지우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를 비롯하여, 최승호 <고슴도치의 마을>, 장정일 <햄버거에 대한 명상>, 그리고 1990년대의 유하 <세운 상가 키드의 사랑>, 나희덕 <그곳이 멀지 않다>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시인들에게 활발한 시작 활동의 장을 열어주었다.2006년부터 김수영 문학상은 기성 시인은 물론 미등단의 예비 시인들에게도 문호를 활짝 열어놓기로 하였다. 넘치는 패기와 신선한 개성으로 한국 시단의 미래를 이끌어갈 많은 시인들의 관심과 응모를 바란다.
당선작: <양파 공동체>, 손미
조용하고 깨끗한 풍경 속에서 사물이 영혼이 되어 흐르는 이야기, 그 영혼의 이야기를 전개하는 또 다른 이야기라 부를 수 있을 만큼 시적 언술을 증발시키는 방법이 남달랐다. 시들에 깃든 영혼의 말을 들으면 이상하게도 조용하고 고독한 육체의 흐릿한 행동 하나가 눈앞에 고요히 떠올랐다. 거꾸로 그 흐릿한 몸짓 하나를 따라가면 문을 지나 숲, 숲을 지나 시냇물, 시냇물을 지나 사라지는 미로 속의 영혼이 하나 열리는 경험이 있었다. 욕심 없이 가는 선으로 그은 묘사가 머나먼 은유를 불러와 사물의 공간을 드넓게 만들었다. ―김혜순(시인)
앙파 하나가 쪼개지는 사건 속에서 우주를 보여 주는 시인이다. 세상과 인간의 마음을 통과하는 무시무시한 동요(動搖)가 유리의 실금과도 같은 식물의 결 속에서 섬세하게 그려진다. 구체적인 사물들이 우리의 넋을 떠맡은 채 녹거나 무너지거나 세상의 어떤 알 수 없는 날카로운 조각들에 찔리는 모습을 훌륭하게 포착하는 것이 손미의 시 세계이다. ―서동욱(시인․문학평론가)
체스판의 규칙이나 달력의 한 칸 한 칸처럼 정해진 방향으로 언제나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밀려가는 와중이었는데, 예상할 수 없었다. 그가 ‘양파’를 한 겹 벗길 때, 우리의 ‘무의식’이 어떤 얼굴을 하고 있는지. 나와 타인들이 어떻게 비밀의 공동체를 이루는지. 그가 다시 ‘양파’의 흰 살을 벗기려고 하고 익히려고 한다. 나는 예상할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그의 시를 읽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 무한 ‘양파 공동체’에서는 당신의 살점도 뜯기고 당신의 살코기도 함께 익고 있다. ―김행숙(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