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의 거부로 이어진 자유와 치열한 양심의 시인 김수영을 기리기 위하여 1981년 제정된 김수영 문학상은,제1회 정희성 <저문 강에 삽을 씻고>, 제2회 이성복 <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 제3회 황지우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를 비롯하여, 최승호 <고슴도치의 마을>, 장정일 <햄버거에 대한 명상>, 그리고 1990년대의 유하 <세운 상가 키드의 사랑>, 나희덕 <그곳이 멀지 않다>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시인들에게 활발한 시작 활동의 장을 열어주었다.2006년부터 김수영 문학상은 기성 시인은 물론 미등단의 예비 시인들에게도 문호를 활짝 열어놓기로 하였다. 넘치는 패기와 신선한 개성으로 한국 시단의 미래를 이끌어갈 많은 시인들의 관심과 응모를 바란다.
당선작: <불쌍한 사랑 기계>, 김혜순
“나는 내 시가 프랙탈 도형처럼 세상 속에 몸담고 세상을 읽는 방법을 가지길 바란다. 울퉁불퉁하고, 미끌미끌하며, 변덕이 죽 끓는 이 세상 말이다. 이 세상은 해석할 수가 없다. 시는 이 세상에 몸담은 자가 이 세상(몸)이라는 형상을 이기려는 지난한 몸짓 아닌가. 여성은 자신의 몸 안에서 뜨고 지면서 커지고 줄어드는 달처럼 죽고 사는 자신의 정체성을 본다. 그러기에 여성의 몸은 무한대의 프랙탈 도형이다. 이 도형을 읽은 방법으로 여성인 나는 생명이 흘러들고 나아가는 길을 느끼고 그것에 따라 산다. 나는 사랑하므로 나 자신이 된다. 나는 사랑하므로 내 몸이 달의 궤적처럼 아름다운 만다라를 이 세상에 그려 나가기를 바란다. 이 사랑은 태곳적부터 여성인 내 몸에서 넘쳐 나오고, 그리고 거기서부터 고유한 실존의 내 목소리가 터져 나온다. 그러나 이 실존의 실체는 고정된 도형이 아니라 움직이는 도형으로서의 실체다. 늘 순환하는. 그러나 같은 도형은 절대 그리지 않는….
-김혜순,「프랙탈, 만다라, 그리고 나의 시 공화국」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