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의 거부로 이어진 자유와 치열한 양심의 시인 김수영을 기리기 위하여 1981년 제정된 김수영 문학상은,제1회 정희성 <저문 강에 삽을 씻고>, 제2회 이성복 <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 제3회 황지우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를 비롯하여, 최승호 <고슴도치의 마을>, 장정일 <햄버거에 대한 명상>, 그리고 1990년대의 유하 <세운 상가 키드의 사랑>, 나희덕 <그곳이 멀지 않다>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시인들에게 활발한 시작 활동의 장을 열어주었다.2006년부터 김수영 문학상은 기성 시인은 물론 미등단의 예비 시인들에게도 문호를 활짝 열어놓기로 하였다. 넘치는 패기와 신선한 개성으로 한국 시단의 미래를 이끌어갈 많은 시인들의 관심과 응모를 바란다.
당선작: <귀 없는 토끼에 관한 소수 의견>, 김성대
깊이 있고 폭이 넓은 이미지를 자유롭게 활용하여 스케일이 큰 시를 빚어내는 능력이 돋보인다. 작고 구체적인 사물이나 몸에서 진화의 긴 시간을 관통하는 우주적인 기억을 읽어 내는 시적 인식과 그것을 감각적으로 간결하고 선명하게 구성하는 시적 방법에서 장인적인 솜씨가 느껴진다. 단순한 현상을 투시하여 그 본질을 들여다보려는 눈과 활달한 상상력, 그것이 김성대 시의 매력이다. ―김기택(시인)
김성대의 시는 잔잔하게 천천히 전진하는 시적 어조 속에서, 단단하나 비밀의 껍질을 두르고 있는 삶의 내면으로 집요하게 침투해 들어간다. 자극적인 언어나 소란스러운 시적 정황을 표면에 내세우지 않으면서 매우 깊이 있고 세련된 언어 구사를 통해 삶의 다채로운 국면을 시 속에 녹여 내고 있다. 마치 고집스럽게 입을 다물고 있는 악기 안에 들어 있는 음악을 서두르지 않고 한 가닥 한 가닥 인내심을 가지고 마지막까지 뽑아내듯 그는 견고한 시를 쓰고 있다. 김성대의 이 진지한 성취는, 진정 〈김수영 문학상〉의 거울에 담겨 사람들을 놀라게 할 우리 젊은 시의 한 모습이라 할 만하다. ―서동욱(시인․문학평론가)
그는 무엇보다도 ‘촉’이 좋다. 그의 세계와 문체는 섬세한 촉수의 언어에서 나온다. 천천히 움직이는 것, 조금씩 변해 가는 것, 약간 틀어진 것뿐만 아니라 보이지 않는 것, 들리지 않는 것까지 그의 예민한 촉수는 감지한다. 그의 시는 새로운 과거와 오래된 미래의 시간을 보여 준다. 그의 시는 “끊임없이 자신을 듣는 귀 안쪽”과 같은 공간 속으로 우리를 문득 데려다 놓는다. 그 섬세한 촉수의 언어가 파열되면서 알 수 없는 광기의 속력이 문장을 사로잡을 때 의식 이전, 지각 이전의 세계가 솟아오른다. ―김행숙(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