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의 거부로 이어진 자유와 치열한 양심의 시인 김수영을 기리기 위하여 1981년 제정된 김수영 문학상은,제1회 정희성 <저문 강에 삽을 씻고>, 제2회 이성복 <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 제3회 황지우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를 비롯하여, 최승호 <고슴도치의 마을>, 장정일 <햄버거에 대한 명상>, 그리고 1990년대의 유하 <세운 상가 키드의 사랑>, 나희덕 <그곳이 멀지 않다>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시인들에게 활발한 시작 활동의 장을 열어주었다.2006년부터 김수영 문학상은 기성 시인은 물론 미등단의 예비 시인들에게도 문호를 활짝 열어놓기로 하였다. 넘치는 패기와 신선한 개성으로 한국 시단의 미래를 이끌어갈 많은 시인들의 관심과 응모를 바란다.
당선작 「나랑 하고 시픈게 뭐에여?」 외 59편, 최재원
김수영 시인이 우리 현대 시에 제시한 포인트는 무엇보다도 시의 언어는 ‘첨병’의 언어라는 것이다. 첨병이 되기 위해서는 그동안 쓰이던 내용으로부터, 또한 그것을 발화하는 수사로부터 자유로워야 할 것이다. 올해 김수영 탄생 100주년을 맞이하여 수상하게 된 최재원 시인의 시는 내용과 형식에서 거침없고 자유로웠던 김수영의 첨단의 언어를 계승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는 우선 내용 면에서, 카드가 없어 기사와 승객이 실랑이를 벌이는 버스 안 풍경이나 음료수를 건네고 마셨느니 안 마셨느니 말다툼이 벌어지는 모습, 샤프심을 훔치고 자수하는 과정 등 일상과 세속에 직접 육박해 들어가는 과감함에서 단연 독보적이다.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장면으로의 밀착이 생생하게 이글거리는 이미지들을 만들어 낸다.
그리고 그러한 것들을 구어체와 대화 문장, 평속어의 연이은 폭발로 제시하는 것이 무엇보다 압도적이다. 공중으로 던져지는 말은 때로는 비속함을 마다 않는 거친 힘으로, 비약의 난폭한 속도로 시어의 역동성을 회복한 쾌감을 준다. 언어는 무엇에도 구애되지 않고 스스로 운동하여 단번에 정점에 도달한다. 김수영 시인에게서 그랬던 것처럼 최재원 시인에게서도 이렇게 언어는 무기이고 전진이다. 그는 언어로 나아간다. 아무도 가지 않았던 곳을 간다. 이를 통하여 언어는 오직 인간의 살아 있는 신호임을 그의 시는 뚜렷이 가리켜 보인다.
―이수명(시인·문학평론가)
본심에 올라온 작품들은 제각각 최종 선정에 값하는 미덕들을 지니고 있었다. 그중 「나랑 하고 시픈게 뭐에여?」 외 59편을 당선작으로 꼽은 주된 이유는 과감하면서도 활달한 상상력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심사 초기에 만장일치로 당선작으로 거론되기 시작할 정도로 당선작은 다른 후보작들과 변별되는 고유의 미덕을 갖추고 있었다. 사유의 시계에 포착된 바를 놓치지 않고 끝까지 밀고 가는 힘과 그 사유의 리듬을 과감하게 변주하는 이미지들의 조화가 돋보였다. 동시대의 삶의 부면들을 열심히 응시하면서도 이를 자신의 주관 안에서 자신 있게 다루는 능숙함 역시 인상적이었다. 고운 쇳소리에 비견될 능숙한 거칢이 시의 중심을 안정적으로 붙들어 주고 있다는 점에서 이후의 시작에 대한 큰 기대를 갖게 한다. 축하의 악수를 건넨다.
―조강석(문학평론가)
세 명의 심사위원들이 220여 명의 응모 시를 나누어 읽은 다음 본심에 올린 6명의 작품은 모두 훌륭한 가치를 지닌 수작들이었다. 그중 만장일치로 최종 선택된 최재원의 「나랑 하고 시픈게 뭐에여?」 외 59편은 내게 ‘105번’ 응모자로 처음 다가왔다. 이름도 경력도 어떤 정보도 없이 105번으로 다가온 시편들은 나를 아주 매력적인 세계로 안내했다.
우선 강의실 합평에서 만들어지기 힘든 개성이 돋보였다. 교정되지 않은 채 자기 식으로 쌓아 올린 독창적인 벽돌집을 보는 것 같았다. 그런데 그 벽돌집이 탄탄했다. 105번은 자기 벽돌집에 들어온 방문객을 자기가 원하는 감정 상태로 끌고 가는 압도적인 힘이 있었다. 때로는 능청스럽게, 때로는 냉정하게, 때로는 수줍은 듯 상황을 미학적으로 환기시키는 능력이 탁월했다.
리듬감과 독창적인 언술도 뛰어났다. 읽는 이를 자신만의 세계에 빠뜨리는 신비감 역시 마음에 들었다. 유행하는 시들에 몰두하며 시 쓰기를 연마한 사람으로 느껴지지 않았다. 시편들마다 다소 편차는 있었지만 지적 통찰에서 나온 듯한 규정들이 읽는 이를 매혹했다.
어떤 작위를 넘어 성공한 이미지가 된 그의 시편들을 읽으며 개성 넘치는 시인의 탄생을 상상했다.
―허연(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