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의 거부로 이어진 자유와 치열한 양심의 시인 김수영을 기리기 위하여 1981년 제정된 김수영 문학상은,제1회 정희성 <저문 강에 삽을 씻고>, 제2회 이성복 <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 제3회 황지우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를 비롯하여, 최승호 <고슴도치의 마을>, 장정일 <햄버거에 대한 명상>, 그리고 1990년대의 유하 <세운 상가 키드의 사랑>, 나희덕 <그곳이 멀지 않다>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시인들에게 활발한 시작 활동의 장을 열어주었다.2006년부터 김수영 문학상은 기성 시인은 물론 미등단의 예비 시인들에게도 문호를 활짝 열어놓기로 하였다. 넘치는 패기와 신선한 개성으로 한국 시단의 미래를 이끌어갈 많은 시인들의 관심과 응모를 바란다.
당선작: 「책 기둥」외 52편 문보영
‘촌초의 배반’에 부합하는 태도, 논리의 세련된 봉합 없이 끝까지 아이러니한 진술을 밀고 가는 힘, 그리고 거기서 번뜩이는 사유와 재기를 매력의 근원으로 지목할 수 있겠다고 결정한 것은 오랜 논의 끝에 이 상이 김수영이라는 이름으로 주어진다는 사실을 다시 상기하고 난 후였다. 아쉬움과 결여조차 또 한 번 ‘배신’당하기를 희망할 만한 작품들이라는 것이 최종 결론이다. 또 하나의 사건이 되기를 희망하며 문보영 시인의 수상을 축하한다.
—심사위원 조강석(문학평론가)
저마다 특이점과 장단점을 갖추고 있는 이상의 작품들을 두고 장시간의 토론이 이어졌다. 말 그대로 장시간의 토론이었고 마지막에 단 한 명의 작품이 남았다. 문보영 시인의 「책 기둥」 외 52편을 두고서 다시 오랜 숙고와 논의가 이어졌다. 동의할 수 없는 지점과 신뢰할 수 있는 지점을 저울질하면서 결국엔 신뢰하는 쪽으로 마지막 한 표를 던졌다. 신뢰의 상당 부분은 미래의 가능성에 기댄 것이기도 하다. 풍성한 시적 장치를 동반하는 기획력 이면에 반드시 녹아 있을 어떤 에너지를 믿는다는 말도 되겠다.
—심사위원 김언(시인)
문보영 시의 담백하고도 에너지 넘치는 문장 이면에는 삶과 세상을 대하는 시인의 용기와 정직한 태도가 두텁게 자리하고 있을 것이다. 누구에게나 불안하고 외로운 것이 각자의 삶이지만, 그렇기에 쉽게 외면하고 왜곡하기 쉬운 것이 삶에 대한 진술과 묘사이지만, 그럼에도 제 앞의 삶을 직시하고 그 속에서 진실된 것이라 여겨지는 무엇을 담담하고 단단한 문장들로, 그리하여 끝내 새로운 언어로 발견해 보여 주려는 이 시인을 응원하지 않을 수 없다. 삶을 아끼므로 시 또한 아끼는 모두에게 문보영의 시가 귀하고 반가운 선물이 되어 주리라 믿는다.
—심사위원 김나영(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