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의 거부로 이어진 자유와 치열한 양심의 시인 김수영을 기리기 위하여 1981년 제정된 김수영 문학상은,제1회 정희성 <저문 강에 삽을 씻고>, 제2회 이성복 <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 제3회 황지우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를 비롯하여, 최승호 <고슴도치의 마을>, 장정일 <햄버거에 대한 명상>, 그리고 1990년대의 유하 <세운 상가 키드의 사랑>, 나희덕 <그곳이 멀지 않다>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시인들에게 활발한 시작 활동의 장을 열어주었다.2006년부터 김수영 문학상은 기성 시인은 물론 미등단의 예비 시인들에게도 문호를 활짝 열어놓기로 하였다. 넘치는 패기와 신선한 개성으로 한국 시단의 미래를 이끌어갈 많은 시인들의 관심과 응모를 바란다.
당선작: 『세상의 모든 최대화』, 황유원
황유원의 시를 읽으면 이렇게 풍부한 이미지들이 시 한 편 한 편에서 이렇게 다양하게 끓어오를 수가 있단 말인가 하고 놀라게 된다. 그 다음엔 다양한 지점들을 연결하는 시적 화자의 보폭과 리듬, 라임 등등과 함께 여행을 끝낸 후의 저녁의 흐린 빛, 고즈넉함까지 선물받게 된다. 시편들이 단순히 리듬의 반복과 변주만이 아니라 형식을 발명하고, 확장하고 있다. 하나의 오롯한 감각이 솟아오르고 그 감각이 펼치는 시적인 파노라마, 수다스러움으로 감싸안고 가는 개인으로서의 시인의 확장과 적막한 정지, 그에 이어지는 ‘착각의 평화’. 관념이 아니라 현상의 운동성으로 존재의 심연과 높이를 끊임없이 열어보려고 하는 끈질긴 리듬. 한 점에서 시작해서 큰 무늬가 퍼지고, 그물이 펼쳐지듯이 그 무늬들의 꿈틀거리는 육체가 하나의 음악처럼 세상을 감싼다. -김혜순(시인)
황유원의 시편은 겉부터 끓는다. 그 열기는 일견 과잉으로 보이기도 하고 또한 불필요하게 분량이 길어지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의문을 낳는다. 현학적 어휘와 농설(弄舌)이 시에 필연적으로 필요/불필요한 것인지에 대한 판단은 차치하고, 황유원 시인 자신의 어법과 세계 안에서 이 사실은 반드시 하나의 실천이어야 한다. 비의적이며 묵시적 언어가 여타의 종교성을 벗어나 신성성 자체로 나아가고 있다는 인상은 아마도 그러한 긍정적 실천의 순기능일 것이다. -조연호(시인)
황유원의 작품들은 얼음의 밑바닥을 흘러가는 물결처럼 적막하고 견고한 시세계를 전편에 걸쳐 유지하고 있다. 사념적인 요소 역시 날 것으로 엉뚱하게 등장하여 시세계를 망쳐 놓지 않고 낱말 하나하나의 내부로 스며든다. 다만 이토록 시들이 길어진 것이 과연 필연적인가, 오히려 더 조여질 수 있는 긴장감을 풀어헤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얼마간의 아쉬움을 남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식 없이 절실한 시적 정황들이 주는 무게감을 시편들 하나하나가 고르게 성취하고 있는 이 진지한 세계는 매우 드물고 값진 것이다. -서동욱(시인, 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