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 문학상

시대의 거부로 이어진 자유와 치열한 양심의 시인 김수영을 기리기 위하여 1981년 제정된 김수영 문학상은,제1회 정희성 <저문 강에 삽을 씻고>, 제2회 이성복 <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 제3회 황지우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를 비롯하여, 최승호 <고슴도치의 마을>, 장정일 <햄버거에 대한 명상>, 그리고 1990년대의 유하 <세운 상가 키드의 사랑>, 나희덕 <그곳이 멀지 않다>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시인들에게 활발한 시작 활동의 장을 열어주었다.2006년부터 김수영 문학상은 기성 시인은 물론 미등단의 예비 시인들에게도 문호를 활짝 열어놓기로 하였다. 넘치는 패기와 신선한 개성으로 한국 시단의 미래를 이끌어갈 많은 시인들의 관심과 응모를 바란다.

당선작 「정물처럼 앉아」 외 50편, 김석영

 

 

김석영의 작품은 한 편의 시마다 스스로 던진 화두를 스스로 해결해 내는 매력적인 완성도를 지니고 있었다. 미로찾기에 성공한 그의 시들은 정갈한 시가 빠지기 쉬운 상투성이라는 함정으로부터도 자유로웠다. 충분한 개성을 지니고 있었다. 흐트러짐 없는 완성도와 이미지를 처리하는 능력이 당선작이 되기에 충분했다.
또 김석영의 시는 읽는 이의 호흡에 적절히 조응하는 리듬감을 지니고 있었다. 맥박이 뛰고 밀물 썰물이 있는 것처럼, 김석영의 시는 자연스러운 리듬에 올라타고 있었다. 긴 시든 짧은 시든, 아니면 실험적인 형식을 띤 시든 예외 없이 리듬이 살아 있었다. 그 리듬은 김석영이 선택한 기호들을 왜곡 없이 잘 전달해 내고 있었다. 한 명의 장인을 만난 느낌이었다. 그는 교향곡 한 악장을 무리 없이 빈틈없이 잘 마무리한 지휘자다. 심사평을 쓰기 위해 그의 응모작 「정물처럼 앉아」 외 50편을 일독하면서 잘 조율된 한 악장의 음악 같다는 생각을 했다. 이번 수상이 시인에게 빛이 되기를 바란다. 따뜻한 축하를 드린다.
―허연(시인)


 

심사를 진행할 때마다 새삼 ‘지금 시란 무엇인가’를 묻게 된다. 이 물음에 대한 잠정적 답변이 매번 같을 수는 없다. 그러나 일관되게 중심을 지탱하는 몇 가지 의제들은 없다고 할 수 없다. 예컨대, 시라는 장르의 경계가 확대되거나 심지어 무화된다 해도, 혹은 조금 더 엄밀한 방향으로 수축되는 경우에도 우선은 읽을 만한 문장이어야 하지 않을까. 지성적이든 감성적이든 여하한 소구 요인이 있어야 한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는 일이다. (……)
「정물처럼 앉아」 외 50편은 본심 초반부터 당선작으로 거론되었다. 가장 큰 이유는 시편들이 흠 없이 고른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시적 상황 속으로 이끄는 힘이 있는 문장들이었다. 심사위원들은 투고된 작품의 첫 문장들을 거론했다. 어떤 단절과 함께 상황 속으로 이끄는 문장은 독자들을 거부감 없이 시적 실재 속으로 몰입하게 만들기에 충분했다. 때론 동화 속으로, 때론 현장 속으로, 때론 사고 실험 속으로 독자를 이끌어 충분히 말을 풀어낸 뒤 자연스럽게 사유의 끝에 안착하는 감각의 논리가 매혹적이었다. 역시 오랜 숙련이 있었겠다. 이제는 절차탁마보다 일성의 시간이다. 당선이 주는 안도가 자기 안에서 마음껏 놀 수 있는 자유를 허락하기를 기대하며 축하의 악수를 건넨다.
―조강석(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