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의 거부로 이어진 자유와 치열한 양심의 시인 김수영을 기리기 위하여 1981년 제정된 김수영 문학상은,제1회 정희성 <저문 강에 삽을 씻고>, 제2회 이성복 <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 제3회 황지우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를 비롯하여, 최승호 <고슴도치의 마을>, 장정일 <햄버거에 대한 명상>, 그리고 1990년대의 유하 <세운 상가 키드의 사랑>, 나희덕 <그곳이 멀지 않다>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시인들에게 활발한 시작 활동의 장을 열어주었다.2006년부터 김수영 문학상은 기성 시인은 물론 미등단의 예비 시인들에게도 문호를 활짝 열어놓기로 하였다. 넘치는 패기와 신선한 개성으로 한국 시단의 미래를 이끌어갈 많은 시인들의 관심과 응모를 바란다.
당선작: <시차의 눈을 달랜다>, 김경주
그의 시는 감각과 정서를 급습하여 미적 자극을 주고 그것을 활동하게 하는 힘이 매우 크다. 시인이 호명할 때마다, 이름 붙일 수 없는 사소하지만 결정적인 수많은 순간들은 서로 결합하고 스며들고 화학작용을 일으키면서 역동적으로 움직인다. 쉽게 잊힐 수도 있는 이 기억의 파편들은 겹치고 또 겹치면서 생생한 미적 울림을 갖는다. 어떻게 기억과 감각에서 이 순간들을 자유롭게 불러내고 결합시켜 통일된 미적 구조를 만들어 낼 수 있는지 궁금하기도 하고 경이롭기도 하다. — 김기택(시인)
그의 시는 ‘문체’의 힘으로 작품들을 흐르게 한다. 낯선 조어(造語)나 한자어들, 이따금 따져 보면 비문인 문장들까지 그의 시는 음악의 소용돌이 속으로 부드럽게 때로 거칠게 움직이게 한다. 이러한 리듬은 그의 시적 관심사로 보이는 ‘흐르는 시간’과 ‘떠도는 여행’의 문제와 상통하면서 그의 특이한 시 세계를 이룩하고 있다. 그에게 여행은 테마가 아니라 삶의 형식이자 시적 태도로 나타난다. 그는 세계의 철도를 달리고 골목들을 떠돌면서 몸 안의 우주를 주유하는 것이다. 그의 낭만성은 이상향의 꿈을 동력으로 하지 않고 흐르는 시간을 ‘다르게’ 떠돌고자 하는 예술적 의지와 욕망에서 나온다. 흐르는 시간을, 움직이는 지구를, 몸 안의 우주를 다른 질감으로 경험하게 해 준다는 것은 시만이 줄 수 있는 희귀한 선물임에 틀림없다. — 김행숙(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