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둥이자리 별에는 다른 시간이 흐른다

최승호

출판사 민음사 | 발행일 2022년 5월 13일 | ISBN 978-89-374-4295-7

패키지 양장 · 변형판 150x190 · 164쪽 | 가격 14,800원

책소개

최승호가 발견하고 재해석한
한글의 조형적 아름다움

편집자 리뷰

최승호가 발견하고 재해석한
한글의 조형적 아름다움

최승호 그림 시집 『쌍둥이자리 별에는 다른 시간이 흐른다』가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 1977년 작품 활동을 시작한 이래 시와 동시를 아우르며 눈부신 성취를 만들어 온 최승호 시인이 이번에 선보이는 작품은 한글로 그린 ‘그림 시집’이다.
‘그림 시’는 단어와 단어의 의미를 연결해 문장을 만드는 기존의 언어 사용 방식에서 벗어나, 단순한 단어의 나열로 형태를 만들어 그림으로 보여 주는 시의 한 형식인 ‘구체시’의 일종이다. 최승호 시인은 ‘구체시’를 ‘그림 시’로 새로이 명명해 소개하며, 구체시의 현대적 기원이 된 2차 세계대전 이후 문학운동이라는 정치적 의미를 덜어내고 언어의 직관적 형태가 주는 즐거움에 다시금 주목해 볼 것을 제안한다.
최승호 시인의 45년 시력에서 ‘그림 시’의 탄생은 어쩌면 이미 오래전 예고된 것이었다. 말놀이 동시집이 출간되었을 당시 “그야말로 언어끼리 자유롭게 놀아 스스로 지어졌다.”고 말한 시인의 말에서 드러나는 놀라움과 기쁨처럼, 말놀이를 만난 후 시인은 언어의 조형성과 말의 회화성, 말과 말이 만나 빚어내는 우연한 음악성에 오랜 시간 매료되었다. 이제 시인의 시 세계에서 생략할 수 없는 주요한 형식이자 분기점이 된 ‘말놀이 시’는 ‘그림 시’를 시도하며 그 영역을 넓히고 있다.
시와 동시에서 이토록 무궁무진한 형식 실험이 가능한 바탕에는 최승호 시인의 타고난 동물적 직관력이 있다. 시선집 『얼음의 자서전』이 독일에 번역 출간되었을 당시 받은 ‘양서류적 상상력’이라는 평처럼 젊은 날 최승호 시인이 온몸으로 호흡하고 변온하며 현대문명의 허무와 생태계의 위기를 가감 없이 응시하고 말했다면, 오늘날 최승호 시인은 그 직관의 힘으로 언어에 붙은 불필요한 오염물을 깨끗이 떼어내고 가장 순수한 면모를 발견해 보여 주려 한다. 한국문학에 익숙한 독자들과 더불어 아동과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까지, ‘지금 여기’의 언어가 생소하고 낯선 이들도 아무런 설명 없이 함께 웃음 지을 수 있는 한글을 새로이 발굴해 느껴 보자고 제안한다.

 

“젊은 날 마음이 어두울 때 램프처럼 찾아온 문장들을 나는 기억한다.
그 문장들의 메아리 같은 그림들을 한글로 그려 보았다.”

시인이 서두에서 밝혔듯 이 그림 시집은 작품마다 시인이 오랫동안 기억 속에 간직해 온 ‘한 문장’과 이를 통해 떠올린 심상을 한글로 그린 한 편의 ‘그림 시’로 구성되어 있다. 표제작 ‘쌍둥이자리 별에는 다른 시간이 흐른다’를 보면, 헤라클레이토스의 “사람은 같은 강물에 두 번 발을 담글 수 없다.”라는 문장 곁에 ‘무’라는 단어를 반복해 그린 우주 공간과 쌍둥이자리가 놓여 있다. 쌍둥이자리 별에 ‘무’라는 ‘다른 시간’이 흐른다면, 그곳에서 우리는 같은 강물에 두 번 발을 담글 수 있는 것일까? 시간조차 흐르지 않는 것일까? 단 한 문장과 그림만으로 깊은 고민에 잠기게 한다.
최승호의 그림 시는 대부분 동식물들의 이름으로 그려져 있다. 시인이 오래 환경운동에 몸담았다는 사실을 돌이켜 보면 그 이름들이 더욱 특별하게 다가온다. ‘펭귄’, ‘사막여우’, ‘흑염소’부터 알락하늘소, 알락똥풍뎅이 등 서로 다른 종이지만 이름을 가족의 돌림자처럼 공유하는 ‘알락 친구들’, 금빛노랑불나방, 교차무늬주홍테불나방처럼 이름만으로 서로 다른 형태와 생물학적 연관성을 동시에 보여 주는 ‘불나방들’까지, 그 종류와 표현 방식도 다양하다. 하나의 단어로도 그 모습과 형태, 생태적 관계까지 상상하게 만드는 힘을 가진 이 이름들은 언어의 자연스러운 리듬감이 만들어 내는 활기와 생명력을 넘어,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존재들을 떠올리게 하며 이 세계의 신비로움을 느끼게 만든다.

 

■ 시인의 말
젊은 날 마음이 어두울 때 램프처럼 찾아온 문장들을 나는 기억한다. 그 문장들의 메아리 같은 그림들을 한글로 그려 보았다. 일종의 타이포그래피다. 한글은 소리글자다. 뜻보다는 소리에 맛이 있고 단순한 문자로서의 멋이 있다. 세종 임금님은 한글을 발명했다. 뒤늦게 나는 한글의 재미를 발견한다. 말놀이를 한다. 그림을 그려 본다. _ 책을 내면서

 

■ 추천의 말
최승호의 한글 비주얼 포엠 앞에서, 생각은 선형적 틀에서 벗어나 꼬리를 물고 이어지고, 이 생각에서 발아된 상상은 상투적 질서에서 해방되어 자유롭게 유희한다. 그의 비주얼 포엠은 재밌게 의미심장하고, 천진난만하게 창의적이다.
― 류신(문학평론가) | 작품 해설에서

목차

펭귄 10
비 속의 나귀 12
제비나비 14
게자리 별의 발걸음 16
띄엄띄엄 18
봄밤 20
긴수염하늘소 22
가랑잎나비 24
자작나무 숲속의 호랑이 26
황룡사구층목탑터 28
목이 긴 남자의 방 30
술병 속의 신천옹 32
사막여우 34
굴렁쇠 36
갯지렁이 38
흰수염고래 40
은하수 한잔 마시게 42
쌍둥이자리 별에는 다른 시간이 흐른다 44
노을 지도 46
알락 친구들 48
해바라기 50
불나방들 52
사막의 모래시계 54
오후 다섯 시의 로봇 56
흑염소 58
호랑이 탈 60
장수하늘소 62
현금지급기, 아니면 변기 64
똥 덩어리 속의 똥풍뎅이들 66
거머리의 시간 68
쿵, 넘어진 눈사람 70
이 별에서의 이별 72
뼈뿐인 뼈 74
웃는 일만 남은 해골 76
유령해파리 78
가슴이 찢어진 허수아비 80
별 먼지, 혹은 남자와 여자 82
넘어지다 84
라르고, 라는 이름의 멋진 장의차 86
무덤 88
왕의 그림자 90
어디론가 가고 있는 자벌레 92
바다 위로 날아오르는 가오리 94
도요새 96
코끼리 모양의 술항아리 98
앤디 워홀의 바나나 100
물속의 달을 건지는 긴팔원숭이 102
농부의 손 104
쥐코밥상 106
꿈 없는 날들을 위한 장아찌 108
개구리 110
심해아귀 112
자코메티와 함께 걸어간 낙타 114

작품 해설 117
한글 비주얼 포엠의 새로운 가능성 _ 류신(문학평론가·중앙대학교 유럽문화학부 교수)
출처 161

작가 소개

최승호

춘천에서 태어났다. 『대설주의보』 『세속도시의 즐거움』 『눈사람 자살 사건』 등의 시집을 비롯해 어린이를 위한 ‘말놀이 동시집’ ‘최승호와 방시혁의 말놀이 동요집’ 시리즈가 있다. ‘말놀이 동시집’ 시리즈는 말과 말의 우연한 결합에서 오는 엉뚱한 결말과 기발한 상상력을 통해 언어에 대한 새로운 감각을 열어 주는 작품으로 어린이 동시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평을 받는다. 시선집 『얼음의 자서전』이 아르헨티나, 독일, 일본에서 번역 출간됐다. 오늘의 작가상, 김수영 문학상, 대산문학상, 현대문학상을 수상했다.

독자 리뷰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