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만 헤세의 작품은 자연과 주변 환경에 대한 묘사가 뛰어나다. ‘수레바퀴 아래서’는 특히나 주인공 한스 기벤라트의 감정에 따라 달라져 보이는 자연물의 묘사가 인상적이었다.
한스 기벤라트는 작은 시골마을, 슈바르츠발트의 장사꾼의 외아들이다. 그 작은 마을에서는 쉽게 나올 수 없는 인재였던 한스는 모든 과목에서 우수하여, 아버지는 물론 마을 사람들, 학교 선생님들의 기대와 총애를 한몸에 받으며 자란다. 한스는 그 사실을 자랑스러워하고 스스로도 학문에 깊은 흥미를 느꼈으나, 그러한 기대들은 점점 한스를 절망의 나락으로 몰아가게 된다.
2등으로 합격한 주의 신학교에서 좋은 성적을 받아야 한다는 압박감에 짖눌리는 와중에, 헤르만 하일너라는 자유분방한 끼를 가진 감성적인 소년과 친구가 된다. 불량스런 언행으로 신학교 왕따나 다름없었던 하일너와 친구가 되면서 한스 역시 무리에서 멀어지게 된다.
결국 하일너는 퇴학을 당하고 그 후로 한스는 온전한 외톨이가 되어버린다.
외로움과 성적부진의 고통에 시달리던 한스는 심한 두통을 견디다못해 쓰러지고, 사실상 퇴학이나 다름없는 귀향을 하게 된다. 유년시절의 즐겁고 아름다웠던 생기있는 나날들을 떠올리며 잠시동안 현실의 고통을 잊고 기쁨의 시간을 보낸 한스. 그렇지만 그러한 즐거움도 현실의 의무와 생각지도 못한 첫사랑의 좌절로 무너지고 만다.
한때 누구보다 총명하고 누구보다 위대한 인물이 될 것 같았던 한스 기벤라트는 평범한 기계공의 일을 받아들이고 거기서 나름의 기쁨을 찾다가 결국 취중의 수치심과 불쾌감, 괴로운 불안감에 휩싸여 물에 빠져 죽음에 이르고 만다.
한스를 그렇게 죽음으로까지 몰아간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을 것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것은 어른들의 이기적인 과열된 기대감이 아닐까. ‘훌륭한 사람이 될거다’라는 감언이설로 제대로된 휴식도 놀이도 하지 못하고 공부와 의무감만을 주려고 했던 어른들에게 철저히 이용당한 성실하고 재능있는 청년의 최후는 씁쓸함만을 남겨준다.
어렸을 적 그는 얼마나 행복하고 얼마나 희망에 가득찬 아이였던가. 우리 모두는 대게 그렇게 한없이 행복하기만 했던 유년시절의 기억을 갖고 있다. 읽는 내내 과거에 대한 향수로 목이 메여 괴롭기도 했다. 돌아오지 않기에 더욱 빛이 나는 과거의 그 시간들.
그런 동심은 느리지만 확실하게 무너져내리고, 모두 체제의 톱니바퀴에 밀어넣어진다. 예나 지금이나 다름없는 세상의 이치다. 견디지 못하고 가장 비극적인 결말을 맞게 되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항상 슬프고 안타깝지만 ‘어쩔 수 없다’는 생각이 들면 그것보다 더한 고통이 밀려온다.
누군가 말했던 것 처럼, 어쩌면 죽음은 이 고통으로 가득찬 세상에서 벗어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일지도 모른다.
수레바퀴 아래 깔려서 소멸된, 청년 한스 기벤라트와. 이 시대를 살고있는 모든 이들의 아름다웠던 동심에게.
애도의 마음을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