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이응준, 시인으로 돌아오다
지옥에서 써서 연옥에서 추려 전장에서 띄우는 사랑의 노래들
한 편의 시를 읽고 싶었던 오랫동안의 갈증이 풀리는 이 충족!
― 김주연(문학평론가, 숙명여자대학교 명예교수)
발굴된 고전의 명편처럼 군더더기가 없다.
― 김혜순(시인,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 교수)
소설가 이응준의 변신은 어디까지인가. 추억 속으로 침잠해 들어가는 존재의 쓸쓸함과 고독의 대명사였던 그가 『국가의 사생활』을 통해 우리 시대 통일 문학을 새로 개척하더니, 올해 초 본격 로맨틱 코미디 소설 『내 연애의 모든 것』이 출간 즉시 드라마화(내년 3월 SBS 방영 예정)가 결정될 만큼 장안의 화제를 모았다. 그런 그가 이번엔 시집을 펴냈다. 소설 『내 연애의 모든 것』이 사랑을 소설로 풀어냈다면, 시집 『애인』은 ‘연애의 모든 것’을 시로 풀어냈다. 사실 이응준은 1990년 계간 《문학과비평》 겨울호에 「깨달음은 갑자기 찾아온다」 외 9편의 시를 발표하며 시인으로 먼저 출발했다. 2002년 두 번째 시집 『낙타와의 장거리 경주』 이후 10년 만에 세 번째 시집 『애인』을 출간하며 시인으로 돌아왔다.
세기말의 슬픈 청춘의 초상을 노래했던 이전 시집과 달리, 이번 시집에서는 사랑의 생생한 건강성에 대해 노래한다. “비바람과 천둥”, “캄캄한 동굴”, “사막과 뜨거운 지옥”을 건너온 자의 사랑을 노래한다. “살과 뼈”는 온통 “비바람에 흩어”져 버렸고, “청춘”은 “천둥과 함께 흘러”가 버렸다. 감당하기 어려운 젊음의 무게에 괴로워하던 청년의 모습에서 1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지만, 그는 오히려 가장 순수한 소년, 영원한 소년의 모습으로 돌아가 있다. 유리창에 한 글자 한 글자 깎아 새겨 넣은 듯한 섬세하고 예리한 문체는 그대로 독자의 가슴속에 각인된다.
■ 연애하는 짐승의 무정함과 무정한 짐승의 연애가 빚어내는 기이한 변증
소설가와 영화 각본가, 영화감독으로도 활동하고 있는 이응준 작품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로 언제나 ‘시적인 언어’가 꼽혀 왔다. 그가 바로 다름 아닌 시인이기 때문이다. 그의 또 다른 특장인 마치 영화를 보는 듯 눈앞에 생생하게 그려지는 이미지는 시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온 우주의 별자리들을 다 헤매도
벗어나지 못하는
이 사막의 중심에서
나는 나의 죄를 닮은 밤하늘을 향해
아무도 사랑하지 않을 거라고
말했다.
그러자
모든 것들이 그리워지기 시작했다.
—「생일」
문학평론가 김주연은 그로 하여금 그의 시를 몸 밖으로 밀어내는 힘이 바로 ‘그리움’이라고 말했다. 아름다움에 오래 머물러 있을 수 없음이 그를 괴롭게 하고, 그의 시를 더욱 찬란하게 만든다. 6행으로 된 단시 「연인」은 이런 의미에서 잠언에 가까운 수작이다.
괴로워 밤마다
환속하는 이여.
문득 꼬리를 만졌을 때나
짐승인 줄 깨닫게 되는
개 한 마리의 사상이여.
해일이여.
이응준 시의 화자는 직시하지 않는다. 언제나 비스듬히, 뒤늦게 바라본다. 피하고, 겁이 난다 하고, 엄두가 나지 않는다 한다. 그는 ‘내’가 아니라, 애인과의 관계로부터 빠져나온 ‘어떤 사람’이다. 시인 김혜순의 말처럼, 그는 “그 누구의 애인이 ‘더 이상’ 아니고, 그 누구의 애인이 ‘아직은’ 아닌” 자다.
문학평론가 장은수는 발문에서 『애인』이 ‘사랑의 건강성’에 대한 시집이라 말한다. 상처가 이 시들을 만든 게 아니라, 시가 존재하려고 상처들이 있었던 것이다. 어둠이 나에게 침투한 것이 아니라, 내가 어둠 속으로 스며든 것이다. 그/그녀에게 열려 있지만, 나를 잃지 않고 나를 지켜 가면서, 다시 그/그녀를 끌어들여 변주한다.
이응준은 시집 뒤에 붙인 산문 「개와 예술에 관한 몽상」에서 자신이 키우는 개에 비추어 자신의 예술론을 펼쳐 보인다. 예술가란 “가슴속에 명쾌한 비극”이 있어야만 하고, “순수하고 양심적”인 존재여야 하며, 그것이 바로 “탐미주의적 예술가의 도덕”이라 말한다.
그는 산문의 말미에 “나는 내가 쓴 것들 말고는 전부 잃어버렸다.”라고 쓸쓸하게 말하지만, 그에겐 결국 그가 쓰는 것만이 전부이므로, 그는 결국 모든 것을 얻은 것이다. “아무도 사랑하지 않을 거라고” 말하자, “모든 것들이 그리워지기 시작”한 것처럼.
시집을 덮으며 떠오르는 “단 한 사람”이 있는가? “나의 너도/ 너의 나도 아닌/ 그저 오래도록 단 한 사람”이 있는가? 그가 바로 ‘사랑’이다.
어디에도 그가 없는 저녁
그녀는 자신에 관한 소식을 듣는다. 그는 지워진다.
가 버린 청춘은 이야기도 아니고 노래도 아니었기에
나의 너도
너의 나도 아닌 그는 그저 단 한 사람.
무엇으로도 그를 기념할 수 없는 저녁
그녀는 사막에서 고래의 눈동자 속으로 걸어 들어간다.
가 버린 청춘은 가혹하고 아름다움은 엄두가 나질 않아
사막에 엎드려 있는 고래의 눈동자 속에 우두커니 서서
폭풍우를 기다리고 있다.
그는 어디에도 없지만
여기 있다. 그를 기다리는 단 한 사람.
죽음처럼 옷깃을 여미고 말없이 반문하는
그의 단 한 사람. 사막에 쓰러져 있는 고래의 눈동자 속
눈물이 되어
폭풍우를 기다리는 단 한 사람.
나의 너도
너의 나도 아닌
그저 오래도록
단 한 사람.
—「단 한 사람」
■ 발문에서
연애하는 짐승의 무정함과 무정한 짐승의 연애가 빚어내는 기이한 변증이 빛을 어둠으로, 기쁨을 슬픔으로, 너에 대한 생각을 나에 대한 사유로 치환한다. 이게 이응준이다.
소년, 영원한 소년이 거기에 있다. 어둠에 웅크린 채 자기를 짐승처럼 벼리고 있다. 지난 20년 동안 그는 조금도 변하지 않았다. 가장 빛나기를 갈증하기에 오히려 존재의 어두운 심연으로 전진하는, 빛 속에서는 까맣게 웅크린 어둠에 끌리고 어둠 속에서는 희미하게 깃들인 빛에 유혹되었던 비극적 짐승으로서의 삶을 마다하지 않았다. 본래 시로 세상에 나왔으나 산문의 세계로 질주했던, 그러나 소설이라는 메마른 질서를 견디지 못하고 끝내 시적인 것을 삽입하고자 했던 치열한 도전의 연속체는 아직 끊어지지 않았다. — 장은수(문학평론가)
■ 추천의 말
소설가 이응준의 ‘죄스러운 그리움’은 그의 시를 그의 몸 밖으로 밀어내는 힘이다. 시인은 겁이 많고 그리움이 많다. 시 「자서전」에 숨어 있는 눈물이 보여 주는 습기는 그의 그리움이 향하고 있는 높이 때문에 빚어진 손 땀이다. 그리하여 그는 올려다보고, 올라간다. 때로 시인은 그 순수함에 문득 스스로 놀라고 겁에 질린다. 그럴망정 시인은 올라가지 않을 수 없어서 금이 간 별이라도 끌어안는다. 아름답다. 그러나 이 아름다움 때문에 시인은 괴로워한다. 아름다움에 오래 머물러 있을 수 없음, 성속(聖俗)이 부드럽게 함께 있을 수밖에 없는 짧은 시간이 그를 괴롭게 하고, 그의 시를 찬란하게 만든다. 6행으로 된 단시 「연인」은 이런 의미에서 잠언에 가까운 수작이다. 한 편의 시를 읽고 싶었던 오랫동안의 갈증이 풀리는 이 충족! ― 김주연(문학평론가, 숙명여자대학교 명예교수)
이응준의 시집 『애인』의 시들은 발굴된 고전의 명편처럼 군더더기가 없다. 그는 닥쳐올 만남이 두려워서 먼 천둥 같은 숨죽인 비명을 지르는 소년처럼 사랑하거나, “파계한 성자들이/ 그 사과나무에 목을 매”기 직전 노래 속에 담긴 사랑을 건져서 홀로 우는 것처럼 노래한다. 유행에 비켜서서, 절박한 상실 뒤편에서 ‘시’한다.
이응준 시의 화자는 직시하지 않는다. 언제나 비스듬히, 뒤늦게 바라본다. 피하고, 겁이 난다 하고, 엄두가 나지 않는다 한다. 그는 어제에 있었을 뿐 지금에는 없다. 반면에 “애인”은 “노래 속”에 살고, “우울과 두통” 속에 산다. 그는 애인과 공시성과 동시성 밖에 있다. 그는 ‘내’가 아니라, 애인과의 관계로부터 빠져나온 ‘어떤 사람’이다. 그는 지금 그의 현존을 구성하는 것들의 한계상황, 자아 상실에 붙들려 있다. 어째서 이 지경인가. 그의 앞에는 “마주하면 사라지게” 되는 “자기만 외로운” 시라는 비밀이 있기 때문이다. 우렁각시의 남자나 나무꾼과 선녀의 남자처럼 사랑하기 때문에 절대로 보아서는 안 될 “아프면 벽 틈 사이로” 보이는 “바다” 같은 비밀을 품었기 때문이다.
자신의 상실을 긍정할 수도 부정할 수도 없는 발화의 불가능성 속에 연애와 시의 비밀이 있다. 그 자리에서 망설이는 틈 사이로 출렁이는 바다를 본 자가 문득 시인이 된다. 이 불가능성 속에서 그 누구의 애인이 ‘더 이상’ 아닌, 그 누구의 애인이 ‘아직은’ 아닌 자가 시인이다. 시인은 인간 존재는 결국 자신이 될 수 없다는 불가능성을 의식하는 자이기 때문이다. 이 자리에서 부재를 끌어안은 이응준식 ‘연애’의 발화, 시가 다시 시작된다. ― 김혜순(시인,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 교수)
단 한 사람
연인
생일
피의 조건
애인
나는 장마에 대하여 다시 쓴다
자서전
맨 처음
이 아이를 보게 되면
저녁의 시
1989
슬픔의 논리
창문 아래 잠들다
극단적
버드나무군락지
파계
밤의 수화
주기도문
東京
봄
안개
외국인선교사묘지
검고 깊은 것들의 일면
희망의 불복종
고해
꽃
섬
안개와 묘비명과
김산
체리
유서를 쓰는 즐거움
나는 진실하다
숲
종려주일
그
당신이 나를 지나간 뒤에는
빈 숲 요양원
적도에서 온 편지
여러 해 지난 뒤
투병기
어머니
고적대는 지나간다
겨울 그림
천국의 북쪽
애도하는 버릇
묵인
이 책의 한 귀퉁이
포옹
묵주기도
은접시 위에 있던 것들
夏至
나무 아래 쉬고 있던 것에 대한 회고
주일
저녁의 영혼
유리병 속 지문
다시 어둠 속에서 내가
밤과 낮
비애
저 계단
미소에 관한 질문
冬至
오명
해명
보내지 못한 엽서
서시
산문 / 개와 예술에 관한 몽상
발문 / 시여, 사랑이여, 비극이여_ 장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