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 문학상

시대의 거부로 이어진 자유와 치열한 양심의 시인 김수영을 기리기 위하여 1981년 제정된 김수영 문학상은,제1회 정희성 <저문 강에 삽을 씻고>, 제2회 이성복 <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 제3회 황지우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를 비롯하여, 최승호 <고슴도치의 마을>, 장정일 <햄버거에 대한 명상>, 그리고 1990년대의 유하 <세운 상가 키드의 사랑>, 나희덕 <그곳이 멀지 않다>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시인들에게 활발한 시작 활동의 장을 열어주었다.2006년부터 김수영 문학상은 기성 시인은 물론 미등단의 예비 시인들에게도 문호를 활짝 열어놓기로 하였다. 넘치는 패기와 신선한 개성으로 한국 시단의 미래를 이끌어갈 많은 시인들의 관심과 응모를 바란다.

당선작: <백 년 동안의 세계대전>, 서효인

재미있게 읽히는 힘이 있다. 자신이 겪은 현실에 수많은 간접 경험을 결합하고 변형시키고 재구성하여 만들어 낸 낯선 잔혹 동화 같은 세계가 매력적이다. 거기에는 천진스럽고 심술궂은 악동의 시선과 현실에 좌절하고 상처받은 지식인의 시선이 흥미롭게 결합되어 있다. 이야기는 어둡고 때로는 심각하지만 어조는 유머러스하고 리듬은 자연스럽고 흥이 있으며 서로 다른 사건을 나의 현실로 꿰어 내는 방법은 능숙하다. ―김기택(시인)

극단적인 산문성 속에서도 정교한 운문의 리듬을 구현할 줄 아는 언어 감각, 3인칭의 캐릭터들 속에 1인칭의 정념과 괴로움을 녹여 내는 우회의 진정성, 세계의 모든 것을 고향으로 삼으면서도 동시에 그 고향을 낯선 곳으로 느끼는 정신의 힘, 그리고 윤리적이거나 정치적인 메시지에 강박되지 않고 유머와 아이러니와 악동 기질 속에서 그 메시지를 최종적인 것으로 방치하지 않으려는 형상화의 힘. 이런 점들에 많은 동의를 느낀다. ―이장욱(시인)

서효인의 유머는 여운이 길다. 그의 시적 아이러니는 생각의 꼬리가 길다. 그는 클릭, 클릭하는 듯한 스텝으로 돌아다니며 세계사와 해외 뉴스와 외국 소설과 여의도와 옆집을 동시다발적으로 접속시킨다. 이렇게 빗방울처럼 그어지는 이질적인 선분들은 허공을 유희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당연하게 살아 내는 현실을 진동시키며 의문투성이로 부글거리게 만든다. 낯선 것이 낯익은 것에 닿고, 가장 낯익은 것이 가장 낯설어지는 순간을 그의 시는 체험하게 한다. ―김행숙(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