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 문학상

시대의 거부로 이어진 자유와 치열한 양심의 시인 김수영을 기리기 위하여 1981년 제정된 김수영 문학상은,제1회 정희성 <저문 강에 삽을 씻고>, 제2회 이성복 <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 제3회 황지우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를 비롯하여, 최승호 <고슴도치의 마을>, 장정일 <햄버거에 대한 명상>, 그리고 1990년대의 유하 <세운 상가 키드의 사랑>, 나희덕 <그곳이 멀지 않다>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시인들에게 활발한 시작 활동의 장을 열어주었다.2006년부터 김수영 문학상은 기성 시인은 물론 미등단의 예비 시인들에게도 문호를 활짝 열어놓기로 하였다. 넘치는 패기와 신선한 개성으로 한국 시단의 미래를 이끌어갈 많은 시인들의 관심과 응모를 바란다.

당선작: 『감은 눈이 내 얼굴을』, 안태운

안태운의 시는 자신만의 독특한 어조와 호흡을 ‘이미’ 가지고 있었다. 개인적으로 문제를 삼은 건 바로 그 ‘이미’였다. ‘이미’로 굳어져 버린 게 된다면, 그 ‘이미’는 어떤 의미에서 독창적인 것도, 자생적인 것도 아닐 수 있다는 판단이 들었기 때문이다. 스스로도 모를 자신 고유의 것이, 역시 스스로도 의식 못했을 수 있을 ‘이미’ 안에 포섭되어 있다면, 그 ‘이미’를 본인만의 어법으로 다시 한 번 깨뜨려 ‘미지’의 것으로 전환하는 힘을 내성케 하는 게 관건이라고 보았다. (……) 임의로 따지거나 꼬투리를 잡기 전에  「토우」 나 「시월」 등에서 보여 준 이 시인의 뚜렷하고 흥미로운 시 세계를 곁눈만으로 무시할 수 없다는 자각 속에 심사위원 모두 안태운 씨의 작품에 가장 많은 점수를 주는 데 동의했다. 수상을 축하드린다.

-강정(시인)


 

어떤 유동적인 세계(여기에 대해선 차후에 좀 더 정치하게 얘기할 기회가 있으리라 생각한다)를 담아내고 있는 그의 시는 지하에서 지하로 흐르는 물처럼 언뜻 봐서는 눈에 띄지 않지만, 들여다볼수록 강한 기운이 느껴지는 문장들이었다. 지하에만 머물지 않고 간간이 지상으로 도약하는 듯한 문장의 꿈틀거림도 함께 느낄 수 있었다. 이 문장들이 앞으로 어떻게 흘러가고 전진해 갈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지금까지의 흐름만으로도 충분히 주목할 만한 비상한 세계를 이루어냈다는 데 적지 않은 분들이 동의할 것으로 믿는다. 수상자에게 축하를 보낸다. 지상에서 보내는 박수 소리와 무관하게 묵묵히, 그리고 고집스럽게 자기 길을 개척해 가기를 바란다.

-김언(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