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에 들어갈 때마다 눈에 밟히는 책이 있었으니, 바로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이다. 위풍당당하게 2권이 정면으로 딱! 매번 읽어야지, 하면서 애써 외면했던 지난날. 이유는 전에 읽다가 몇 장 못 넘기고 바로 치웠던 못난 기억 때문이다.



러시아 말은 또 왜 이리 어려울까. 발음도 힘든데 주인공 이름만 3개가 등장한다. 라스콜니코프, 로디온, 로쟈. 하나로 통일해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책장 한 면에 이 3개의 이름이 중구난방 쓰인다. 뉘가 뉜지 갈등하다가 문맥과 정황으로 스토리를 꿰어야 하는 “매우 적극적인” 독서가 요구된다.



만연체의 글로 해설, 등장인물의 대화가 끊이지 않고 계속해서 이어진다. 호흡이 매우 길어 중간에 끊어보지만, 잘못 끊었다가 앞장을 다시 읽어야 할 수도 있다. 반면 오롯이 책에서 느껴지는 정서는 독자에게 그대로 전이된다. 마치 현장에 있는 것과 같은, 내가 등장인물이 된 것 같은 기분이 드는 것이다.



과연 무엇을 이야기하고 싶어서 제목을 <죄와 벌>로 지었을까. 작품은 단순한 범죄, 처벌을 넘어선 인간의 본성, 도덕성, 자유 의지, 구원 등과 같은 문제를 탐구한다고 한다. 로쟈는 끝까지 자신의 살인죄를 인정하지 않고, 나폴레옹과 같은 비범한 자가 되지 못한 것 자체를 괴로워한다. 나는 그에게 일어나는 내적 고통, 심적 혼란 등이 물리적인 징역형 이외 받은 벌이라고 생각한다.



소냐는 로쟈와 여러모로 대비되는 인물이지만 ‘가족을 위한 희생’이라는 면에서 동질감이 느껴지는 중요한 인물이다. 그들은 살인자와 창녀라는 무자비한 밑바닥 어딘가에 있지만, 소냐의 끊임없는 희생으로 ‘구원’이라는 한 줄기 빛을 보며 작품은 마무리된다.



나에게 죄와 벌은 무엇일까. 나는 작품에서 말하는 초인이 아니므로, 규범적인 양식에서 벗어나는 것이 죄라고 할 수 있다. 이 죄의 범위는 윤리적인 ‘죄’와 사건을 직접 저지르는 ‘범죄’로 나뉘므로 일상에서 흔히 발생하는 전자 측을 범죄까지 아우르는 죄라 생각한다. 이를 어겼을 경우 지배당할 죄의식, 고통이 곧 가혹한 벌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