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관주의는 인류의 아편이다! 건전한 정신은 어리석음의 악취를 풍긴다. 트로츠키 만세!

위의 알 수 없는 구절은 작중 주인공 루드비크가 한 농담이다. 이런 농담은 우리 시대엔 그냥 웃고 넘어갈만하나(재미는 더럽게 없지만), 사회주의체제로 인해 전체주의가 심화된 사회에선 용납못할 이단의 소리였다.

작가는 온 텍스트에서 전체주의의 완고함을 비판한다. 예컨대 소설속에선 농담 한 마디로 인해 루드비크는 엘리트 사회에서 사상범의 하층민 사회로 전락해 버린다. 그저 웃자고 한 농담이었을 뿐인데, 당과 이념은 개인의 말장난 하나 용납 못할 만큼 융통적이지 못했다.

그러나 이 작품을 오직 전체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보기엔 조금 아쉽다. 내가 생각하기에 <농담>은 그보다 더 큰, 인생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있지 않나 싶다.

작중의 주요 인물들은 계속해서 자신 인생의 의미를 상실해간다. 대표적으로 루드비크는 처음에 당에 대해 헌신함으로써 살아가다 “농담” 한 마디에 당을 잃고, 그 후 제마네크에 대한 원한으로 다시 살아가지만 후일 제마네크의 “농담”같은 화해 요청에 복수의 의욕을 허무히 잃는다. 끝에는 옛날 자신이 속했던 악단에서 다시 연주하며 살아가려 하지만, 그 또한 많은 시련으로 상실될 것만 같다.

이를 보며 인생은 세상이 우리에게 건내는 더럽게 재미없는 농담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뭔가 거창한 의미를 건내주다가도, 농담이라며 모든 진중함 빼앗아가는, 그런 무정한 세상이 건내는 농담. 작가는 그 농담에 냉소를 보낸다.

아주 재미나게 읽었다. 묘사도 훌룡하고 여러 인물들이 등장해 시점이 휙휙 바뀌는 전개도 신선했다. 고전이라 불릴 자격이 충분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