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길을 걷다.
문학의 고전 시간에 책을 한 권 읽고 서평을 쓰는 과제를 받았다. 책 4권 중 한 권을 선택하여 쓰는 것이었는데 그 4권의 책 중 나의 눈을 사로잡는 책은 데미안이었다. 그 이유는 집 서재에 꽂혀있던 책 중 분명 데미안이라는 제목의 책을 스쳐 지나가면서 본적이 있기 때문이다. 교수님께서 어려울 수도 있다는 책이라 하셔서 평소에 책을 즐겨 읽지 않았던 나였기 때문에 조금은 두려웠지만, 이유는 모르겠으나 이 책의 제목이 무엇인가 심오하고 마음에 들었다. 또한 이 책을 조사해봤을 때 정말 많은 사람이 읽고 평 또한 매우 좋았기 때문에 이 책을 읽고 나면 나도 분명 얻는 게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그렇게 데미안을 선택하게 되었고 본가에 있던 책을 택배로 받자마자 개봉하여 조금은 두려웠지만 기대되는 마음으로 책을 읽기 시작했다. 우선 이 책의 본론에 들어가기 전 작가인 헤르만 헤세의 소개에서 이 작가는 책을 쓸 때 자신의 어린 시절부터 커가면서의 경험, 느꼈던 것들, 가정환경과 종교문화 등이 큰 영향을 끼치고 그것을 바탕으로 책을 쓴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그 예로 엄격하고 금욕적인 신학교의 생활을 그만둔 뒤 요양 생활을 하며 자살 기도까지 하며 느낀 절망감은 그의 초기작품인 <수레바퀴 밑에서>에 잘 나타나 있으며 동양을 여행하면서 느낀 것들은 <싯다르타>, <유리알 유희>에서 볼 수가 있다고 한다. 나는 데미안은 작가의 어느 시점, 어느 경험, 어떤 생각을 바탕으로 책을 썼을지 기대한 상태에서 이야기를 읽기 시작했다. 이름은 중반쯤 처음 나오기는 하지만 주인공인 싱클레어는 독실한 기독교 집안의 안정되고 편안한 가정에서 태어나 자라게 되었다. 싱클레어는 어린 시절 자신의 가정에서 만큼의 건전하지만은 못한 또래 집단에 끼기 위해 도둑질을 했다는 등의 거짓 이야기를 꾸몄다. 그것이 잘못된 것임을 마음 한쪽에서는 양심의 가책을 느끼고 있으면서도 다른 한쪽에서는 그러한 반항적인 세계에 매력을 느끼고 즐기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그 또래 집단의 대장 격인 프란츠에게 사실도 아닌 도둑질을 했다는 점에 약점을 잡혀 꽤 오랜 기간에 걸쳐 프란츠에게 돈을 뜯기고 협박을 당했다. 그 당시의 싱클레어는 많은 방황을 하고 후회하는 모습이 책을 통해 악몽에 시달릴 만큼 정말 힘들어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싱클레어는 데미안을 만나게 되고 데미안의 도움을 받아 프란츠로부터 해방될 수 있었다. 그때 책을 읽던 나 또한 한시름 놓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책의 끝에서도 데미안이 어떤 방법으로 프란츠를 싱클레어로부터 떼어냈는지는 나와 있지 않아서 아쉬웠지만 크게 중요한 것은 아니었다. 데미안은 무엇인가 또래보다 몇 발자국 앞서나간 듯한 느낌이었고 성숙해 보였으며 어린아이의 느낌을 받지 못하는 아이였다. 무엇인가 자신만의 확실한 생각, 신념이 있어 보였고 데미안 방황할 때 자신을 찾게 되게끔 하는 분명 또래 아이들과는 다른 아이였다. 그 후에 싱클레어는 오래된 시간 동안 데미안과 마주치지 않았고 기숙학교를 다니게 되면서 또다시 방황하게 된다. 자신의 가정과는 반대되는 금지되는 것들을 동경하게 되었고 성적인 충동을 통제하지 못해 계속해서 갈등을 하며 힘들어했다. 술을 마시고 학교에서 퇴학을 생각할 만큼 자신을 통제하지 못한 것이었다. 그러다 자신의 이상형인 베아트리체를 만나게 되면서 어두운 세계에서 벗어나 안정을 찾게 된다. 하지만 책에서 싱클레어는 어두운 세계에 빠지든 안정된 생활로 돌아왔을 때든 계속해서 고독함과 외로움에 빠져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안정을 찾게 된 싱클레어는 그림에도 관심을 끌게 되어 혼자만 있는 방에서 베아트리체의 초상화를 그리게 되었다. 하지만 그 초상화를 완성하니 베아트리체가 아닌 데미안의 모습이 보였다. 싱클레어는 결국 데미안을 그리워하고 동경하고 있었던 것이었다. 싱클레어는 금빛의 사나운 새의 날카롭고 대담한 매의 머리를 하고 있으며,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몸의 반을 검은 지구 속에 묻고 마치 큰 알 속에서 깨 나오려는 듯 애쓰고 있는 새의 그림을 그려 데미안이 살던 곳에 보내게 되었다. 그리고 쪽지로 데미안의 답장을 받게 되는데 난 여기서도 데미안이 어떠한 방식으로 쪽지를 받았고 어떻게 싱클레어 책사이에 쪽지를 끼워놨는지 궁금했다. 그 쪽지에는 아브락사스라는 신의 이름이 적혀있었다. 아브락사스신에 관련된 내용을 찾던 싱클레어는 음악가 피스토리우스에게서 그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아브락사스신은 천사이자 악마, 선과 악, 남성성과 여성성을 동시에 품은 신이라는 내용을 듣게 되었다. 피스토리우스에게서 데미안과 일치하는 말을 하는 모습을 보기도 하고 서로 많은 얘기를 하고 관계를 맺었지만 싱클레어는 피스토리우스에게 후에 큰 상처가 되는 짓궂은 말을 하고 후회하기도 한다. 싱클레어는 대학에 들어갈 때까지 계속해서 데미안을 찾아다녔고 결국 대학교에 들어가서 길을 다니다 데미안을 만나게 되고 그의 어머니인 에바 부인을 만나게 되었다. 처음 에바 부인을 만났을 때 싱클레어는 무척이나 기뻤고 무엇인가 솟구칠정도로 깊은 감정을 느꼈다. 그녀를 어머니라고 부를 만큼 싱클레어는 에바 부인을 좋아했다. 싱클레어는 에바 부인에게서 많은 이야기를 듣고 그 집에서 계속해서 머무를 만큼 좋아했고 에바 부인에게 사랑을 느끼게 되었다. 싱클레어는 에바 부인에게서 많은 이야기를 듣고 그 집에서 계속 해서 머무를 만큼 좋아했고 에바부인에게 사랑을 느끼게 되었다. 그러다 전쟁이 터졌고 싱클레어와 데미안 모두 전쟁에 참전하게 되었다. 전쟁 중 싱클레어는 입원하게 되었고 데미안과 마주 보고 눕게 되었다. 데미안은 싱클레어에게 자신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라는 말과 에바 부인의 뜻을 전하기 위해 싱클레어에게 키스를 하였다. 정신을 차린 후에는 낯선 사내가 누워있었고 싱클레어는 무엇인가 깨닫게 되었다. 자신의 내면에서 자신의 일생동안 동경하고 좋아했던 데미안과 닮은 자신을 본 것이었다 즉 자신에게서 데미안을 발견한 것이었다. 그렇게 책의 내용이 끝나게 된다. 책을 읽으면서 작가인 헤르만 헤세의 소개를 읽어서 였는지 계속해서 싱클레어와 작가가 겹쳐서 읽게 되어 더 감정이입이 잘 되었다. 또 주인공이 불안감을 느끼고 방황하여 힘들어 하는 모습이나 무척이나 좋아하는 모습들이 내가 직접 느껴질 정도로 감정을 잘 표현했다고 생각한다. 친구의 어머니에게 사랑을 느끼고 데미안과 키스를 하는 장면을 보고 조금 당황했지만, 일생을 데미안에게 큰 영향을 받은 싱클레어였기 때문에 이해가 되었다. 내가 이 책을 읽고 가장 많이 느낀 것은 나를 믿는 것 내가 생각 한 것을 남과 비교하기만 하고 이상하다 여기는 것이 아니라 내가 하고 싶은 것을 밀고 나가고 끝까지 따라야겠다는 생각을 가졌다. 나는 그동안 내가 가진 생각이 이상한 생각은 아닌지 걱정하고 남의 대다수의 의견만을 주로 따르기 급급했던 거 같다. 데미안을 읽고 나 자신이 돼야 겠다는 생각을 깊이 느꼈다. 조금은 아쉬운 점을 꼽자면 내가 느낀 교훈과는 달리 주인공인 싱클레어는 자기 자신이 되었다기보다는 데미안이 되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데미안 이 된 것이 싱클레어 마음속에서 원했던 것이었을지도 모른다. 자신이 방황 중이거나 방황한 적이 있는 그 누구나 읽어보면 느끼는 것이 있으리라 생각한다. 내가 나중에 더 나이가 들어서 이 책을 다시 읽는다면 분명 더 많은 것을 느낄 것이라고 생각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