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을 넘어

원제 The Crossing

코맥 매카시 | 옮김 김시현

출판사 민음사 | 발행일 2011년 3월 18일 | ISBN 978-89-374-9043-9 [절판]

패키지 반양장 · 변형판 140x210 · 572쪽 | 가격 15,000원

책소개

서부의 셰익스피어, 코맥 매카시의 탄생을 알린
아름답고 잔혹한 서부의 묵시록 ‘국경 3부작’ 그 두 번째 작품

저주받은 모험은
삶을 그때와 지금으로 영원히 가른다

죽음의 질서만이 존재하는 세계에서
어둠에 갇혀 길을 잃은 한 소년의 처절한 모험
세상의 끝에서 한 줄기 빛만이 그의 영혼을 조용히 감싼다

코맥 매카시의 ‘국경 3부작’ 중 두 번째 작품인 『국경을 넘어』는 세 소설 중 가장 처절하고 비장한 아름다움을 보여 주는 작품으로, 사로잡은 늑대와 교감할 만큼 영혼이 맑은 열여섯 살 소년이 어둡고 냉혹한 세계에 발을 잘못 디뎌 끔찍한 운명 속에서 모든 것을 잃어 가는 모습을 그린다. 이곳이 절망의 끝인가 생각할 무렵 세상은 더 큰 절망을 안겨 주고 이것이 과연 신의 뜻인가 묻지만 답은 돌아오지 않는다. 하지만 소설은 그 침묵이 바로 신의 대답이라고 말한다.
이 소설에는 소년 말고도 세상의 어둠 속을 헤매는 여행자들이 여럿 등장한다. 그들은 소년에게 자신이 겪은 세상 이야기를 하나씩 들려준다. 마치 성경 속 이야기나 민담 또는 전설처럼 들리는 이 이야기들은 성스럽다 할 정도로 아름답고 묵직한 매카시의 문장과 함께 작품에 독특하고 환상적인 분위기를 부여한다. 처절하면서도 환상적인 독특한 분위기로 독자를 압도하는 이 작품은 결말이 주는 묵직한 슬픔과 함께 비탄에 찬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편집자 리뷰

■ 경계를 넘는 순간, 저주받은 모험이 시작되었다
— “저주받은 모험은 삶을 그때와 지금으로 영원히 가른다”

제목에서도 드러나듯, 이 작품에서 국경을 넘는다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전작이 말과 교감한 카우보이 소년에 대한 이야기였다면 『국경을 넘어』는 늑대와 교감한 카우보이 소년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작품에서 늑대는 소년이 국경을 넘는 첫 번째 동기다. 소년 빌리는 멕시코로부터 넘어온 늑대를 잡기 위해 아버지와 함께 덫을 놓지만 자신이 알지 못하는 세계, 늑대에게 매혹당한다.

노인의 말처럼 늑대가 그토록 알 수 없는 존재인지 궁금했다. 늑대가 냄새 맡고 맛보는 세상은 어떤 세상일지 궁금했다. 늑대의 목구멍을 타고 내려가는 신선한 피는 그 자신의 비릿한 피와 어떻게 맛이 다를지 궁금했다. 또한 하느님의 피와는 어떻게 다를지도. (73쪽)

소년은 덫에 걸린 늑대를 멕시코로 돌려보내기로 한다. 하지만 소년이 국경을 넘어 멕시코 땅에 들어섰을 때 그곳 목장 사람들은 소년이 늑대와 함께 그곳을 ‘침입’했다고 말한다. 소년은 늑대가 멕시코에서 왔기 때문에 데려왔을 뿐이라고 하지만, 그들은 ‘국경’의 공고함에 대해서만 말할 뿐이다. 결국 경계를 넘어선다는 것은 어떤 세계로 들어간다는 것이고, 이때 우리는 이를 침입으로 여기는 세계와 맞부딪힌다. 소년이 자신이 원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서는 잔혹한 세상과 만나야 하는 것이다.
결국 소년은 늑대를 빼앗기고 늑대는 투견장에 보내진다. 그곳에서 비참하게 죽어 가는 늑대의 모습을 견디지 못한 소년은 제 손으로 늑대에게 총을 쏜다. 늑대를 살려 보내기 위해 국경을 넘었던 소년은 이번에는 늑대의 시체와 함께 다시 국경을 넘어 집으로 돌아온다. 하지만 이 작품에서 경계를 넘는다는 것은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는 것과 같다. 그리고 한 번 시작된 저주받은 모험은 멈출 줄을 모른다. 집으로 돌아온 소년은 인디언의 침입으로 부모님이 살해당하고 남동생만 살아남은 끔찍한 현장을 발견한다. 소년은 인디언이 훔쳐간 말을 되찾기 위해 동생과 함께 또 한 번 국경을 건너기로 한다. 하지만 이후로도 국경을 넘을 때마다 세상은 가혹한 반격을 해 오고, 소년은 계속해서 소중한 것을 하나씩 잃는다.
이 작품에서 소년은 비정한 세상에 대해 알아 가며, 또 다른 하나의 인간으로 성장해 간다. 멈출 것 같지 않던 험난한 여정이 끝날 무렵, 늑대와 교감을 나누던 소년의 모습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바닥에 힘없이 앉아 통조림을 먹던 소년은 몰골이 기괴한 개가 주변에서 맴돌자 매몰차게 쫓아내 버린다. 절망의 끝에서 소년이 마주한 것은 무엇일까? 소설의 마지막 장면은 그 어떤 잔혹한 다른 소설 장면보다도 충격을 주며, 우리로 하여금 잔혹한 신의 뜻에 대해 다시 한 번 묻게 한다.

■ 어둠과 침묵 속에서 길을 잃은 영혼들의 여정

멕시코에서의 험난한 여정 사이에서 소년은 또 하나의 길 잃은 영혼들을 만난다. 쓰러져 가는 교회에서 사는 남자, 전쟁 중에 눈을 잃은 남자, 인디언, 집시 등. 그들은 자신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소년에게 삶의 진실을 전한다.

세상의 빛은 사람의 눈 안에만 있고, 사실 세상은 영원한 어둠 속에서 움직이고, 어둠이 세상의 참된 본질이자 조건이고, 이러한 어둠 속에서 세상의 모든 부분이 완벽하게 결합되어 돌아가지만 사실은 볼 것이 아무것도 없다고 했다. 세상은 인간이 상상도 할 수 없는 세상의 중심과 어둠과 비밀을 느끼지만, 세상의 본질은 보이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는 게 아니라고 했다. 태양을 응시할 수 있다 해서 그것이 무슨 소용이겠느냐고. (374~375쪽, 눈먼 남자의 말)

세계에는 이름이 없지. (……) 우리는 길을 잃지 않기 위해 이름을 붙이지. 하지만 우리는 이미 길을 잃었기 때문에 이름을 붙이는 거라네. 세계는 결코 잃을 수 없어. 우리가 바로 세계야. 이름과 좌표는 바로 우리 자신의 이름이기에 그걸로는 우리를 구할 수 없어. 우리의 길을 찾아 줄 수도 없고. (515쪽, 길에서 만난 인디언)

집시는 말했다. (……) 사실 모든 여행엔 죽은 자가 함께하는 법이라고. (……) 죽은 자가 떠난 것은 이 세상이 아니라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세상의 그림일 뿐임을 사람들은 알지 못한다고. 세상은 어떤 형태로든 영원히 존재하기에 세상을 떠난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세상 안에 담긴 만물 역시 마찬가지라고. (546쪽, 집시)

소년은 세상의 어둠 속에서 길을 잃고 헤매며 신에 대해, 세계의 의미에 대해 묻는다. 하지만 결국 이곳에는 절망도 희망도 없다. 세계는 늘 변하고, 인간은 삶을 향하든 죽음을 향하든 자신의 길을 간다. 이해할 수 없는 어둠과 침묵 속에서 우리는 신의 대답을 듣기 원하지만, 자신의 길을 걸을 수 있는 건 오직 자신뿐이다.

작가 소개

코맥 매카시

코맥 매카시 Cormac McCarthy

 

윌리엄 포크너, 허먼 멜빌, 어니스트 헤밍웨이와 비견되는, 미국 현대 문학을 대표하는 소설가. 문학평론가 해럴드 블룸은 토머스 핀천, 돈 드릴로, 필립 로스와 함께 코맥 매카시를 이 시대를 대표하는 4대 미국 소설가 중 하나로 꼽은 바 있다.

매카시는 1933년 미국 로드아일랜드 주 프로비던스에서 태어났다. 1951년 테네시 대학교에 입학해 인문학을 전공했고 공군에서 4년 동안 복무했다. 시카고에서 자동차 정비공으로 일하며 쓴 첫 번째 장편소설 『과수원지기(The Orchard Keeper)』(1965)로 포크너 상을 받았다. 이후 『바깥의 어둠(Outer Dark)』(1968), 『신의 아들(Child of God)』(1974), 가장 자전적 내용의 『서트리(Suttree)』(1978)로 작가로서 입지를 다지기 시작했다.

1976년 텍사스 주 엘패소로 이주한 후 발표한 『핏빛 자오선(Blood Meridian)』(1985)은 초기 고딕풍 소설에서 묵시록적 분위기가 배어 있는 서부 장르 소설로의 전환점에 해당하는 수작이자 매카시에게 본격적으로 문학적 명성을 안겨 준 작품이다. ‘《타임》이 뽑은 100대 영문 소설’로도 선정되었다.

『모두 다 예쁜 말들(All the Pretty Horses)』(1992)은 평론가들의 뜨거운 호평을 받으며 전미 도서상과 전미 비평가협회상을 받았다. 또한 처음 여섯 달 동안 20만 부에 달하는 판매고를 올리며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에 오르기도 했다. 다른 두 작품 『국경을 넘어(The Crossing)』(1994)와 『평원의 도시들(Cities of the Plain)』(1998)을 포함한 ‘국경 3부작’은 서부 장르 소설을 고급 문학으로 승격시켰다는 찬사와 함께, 매카시의 작품 중 대중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는 작품들이다.

그 밖에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No Country for Old Men)』(2005), 『로드(The Road)』(2006) 등이 있으며 2007년에 『로드』로 퓰리처 상을 받았다. 『카운슬러(The Counselor)』는 매카시가 쓴 첫 번째 시나리오로, 리들리 스콧 감독이 2012년 영화화했다.

김시현 옮김

이스라엘의 키부츠와 캐나다의 비영리법인에서 자원 봉사활동을 했으며,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코맥 매카시의 『평원의 도시들』, 『핏빛 자오선』, 『모두 다 예쁜 말들』, 『국경을 넘어』, 『카운슬러』 외에 『인생 수정』, 『우먼 인 블랙』, 『리시 이야기』, 『이중구속』, 『심문』, 『비밀의 계곡』, 『약탈자들』 등이 있다.

"김시현"의 다른 책들

독자 리뷰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