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음사 도서목록 | 보도자료 게시판 프린트 | 읽기도구 닫기

암자에는 물 흐르고 꽃이 피네


첨부파일


서지 정보

정찬주

출판사: 민음사

발행일: 2000년 7월 10일

ISBN: 89-374-2459-2

패키지: 양장 · 변형판 145x205 · 312쪽

가격: 12,000원

분야 논픽션


책소개

성철스님의 백련암에서 두륜산 진불암까지심산계곡 서른 암자를 찾아가는정찬주 암자 기행의 완결편
 
정찬주의 암자 기행문을 모은 『암자에는 물 흐르고 꽃이 피네』가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 성철스님의 일대기를 다룬 『산은 산 물은 물』과 만해 한용운의 삶을 추적한 『만행』 등의 소설을 발표한 바 있는 작가 정찬주는 중후한 문체와 그윽한 울림으로 이미 두터운 독자층을 확보하고 있다. 이번 작품 역시 불심(佛心) 혹은 불자(佛者)의 테두리를 넘어 이 땅의 산천에 사는 이라면 누구든 마음 열고 느낄 수 있는 시냇물 같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


목차

[눈으로 보는 것 없으니 분별이 사라지고] 성불의 불꽃이 된 손가락 열두 마디매화는 숨지만 향기는 숨길 수 없네무엇인 삼천배인가볶은 배추씨를 밭에 뿌리다듣는 소리 없으니 시비가 끊어지네나에게 절하지 말고 너에게 하라 큰스님은 큰 시인한방울의 참기름 고양이도 스님의 법문을 듣는구나두껍아 두껍아 헌집 줄게 새집 다오길손에게 딱따구리로 인사하는 암자꽃필 때는 춤추는 게 좋다
[귀로 듣는 것 없으니 시비가 끊어지네] 천불동이 한눈에 드는 동굴 법당 입 다문 바위들도 기도하는 성지나일론 양말을 도끼로 찍으시다 토굴의 종은 왜 울렸나 전생을 알려면 오늘의 자신을 보라 아침 햇살에 등신불로 빛나는 너와집 까치가 떠나는 절을 보며 지극한 마음으로 길 없는 길 끝에서 만나는 암자썩은 것이 어찌 나무다리뿐일까눈길에 저절로 씻기는 헛 욕심그 스승에 그 제자
[분별도 시비도 훌훌 놓아버리고] 작은 꽃에도 뛰는 가슴이고 싶소청솔모가 잣 따는 스님에게 항의하네해가스님은 프로하심은 자비를 싹트게 한다힘겨운 이에게 웃음 주는 돌부처제 몸에 있는 도둑부터 잡으시게스님의 공양을 받는 계룡산 산신불행은 업장을 씻어주는 파도미워하고 사랑하지 않으면꽃도 귀신이 되어 암자를 지키네간절한 확신은 어디에서 오는가
[오직 마음부처 찾아 스스로 귀의하라] 날마다 어머니에게 차 공양 올리리할머니 냄새가 나는 암자불상은 없어도 부처님은 있다위로받아야 할 한반도의 연꽃들아이야. 어서 눈몰을 거두어라뜻밖에 받은 나그네의 생일상달빛을 길벗 삼아 산길을 오르며우리는 한 뿌리에서 나온 이파리누가 관세음보살이 되는가 무상스님을 다시 기다리며 눈덩이로 불을 꺼 지킨 암자나무 이름들도 화두가 되네


편집자 리뷰

누더기 장삼처럼 넉넉하고 따뜻한 공간 – 암자
합천 가야산 백련암에는 성철스님의 삼천배가 화두로 살아 있고, 봉화 태백산 도솔암에는 성불을 위해 자신의 손가락 열두 마디를 기름불에 태운 일타스님의 그림자가 또렷하다. 장성 백암산 운문암에는 이 시대의 노선객 서옹스님이 흰 구름 한 자락처럼 미소 짓고 있다. 그런가 하면 천불(千彿)의 형상을 이룬 천불동이 한눈에 드는 설악산 금강굴이나 만리(萬里)를 불어온 바람에 온갖 약초들이 향기를 풍기는 속리산 상고암, 서해의 핏빛 일몰이 동백 꽃잎처럼 후드득 낙화하는 두륜산 진불암 등은 그 풍광 자체가 장엄한 말씀으로 다가온다.
유명한 사찰들도 많건만 왜 하필 암자인가? 절을 택하지 않고 암자를 찾는 이유를 작가는 산속이 관광지화되고 있는 요즘 그래도 그곳만은 청정공간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밝힌다. 새벽 예불 때 울리는 소종(小鐘) 소리에 작은 깨달음을 얻는 곳, 졸고 있는 노승의 모습을 닮은 곳, 가난을 선택하였기에 더욱 청빈한 곳, 그곳이 바로 암자이다. 그래서 스님의 옷 중에 누더기 장삼이 가장 아름답듯, 고졸한 맛의 외딴 암자가 화려한 사찰보다 아름다운 것이다. 작가가 편답하는 30곳의 암자는 그 규모나 유명세가 다양하다. 이제는 성지가 되다시피 한 가야산 백련암에서 성철 스님의 추상같은 가르침을 상기하고, 설악산 금강굴에서 천불동의 진경을 가슴에 새기며, 오대산 염불암에 이르러서는 한강의 수원이 되는 우통수의 찬 물을 한 모금 마신다. 암자를 지키고 있는 수행자들이나 오가며 만나는 촌로들과 나누는 대화는 산중에서 맞이하는 한줄기 맑은 솔바람과 같은 휴식이 될 것이다.
암자 기행의 완결편 – 이제는 스스로 암자를 지어 그 안에 들 때
작가가 그동안 암자 기행을 묶어서 낸 것만도 세 권. 한 해에 한 권씩 선보인 셈이다. 왜  작가는 협곡과 준령 사이에 숨어 있는 암자를 찾아 나서는가? 운수승(雲水僧)처럼 이 산 저 산 떠돌아다니며 홀로 결제와 해제를 반복하다 보면 어느새 깨달음을 맞이하게 되리라는 생각 때문이다. 그 순간을 굳이 해탈이라는 거창한 말로 얘기하지 않더라도 작가의 표현을 빌리자면  <자신의 속뜰에 물이 흐르고 꽃이 피어나는> 경험인데, 이 책의 제목이 <암자에는 물 흐르고 꽃이 피네>인 까닭이 여기에 있다.
일찍이 추사 김정희도 고요한 방에 앉아 홀로 차를 마시면서 깨달음의 순간을 놓치지 않고 <물 흐르고 꽃이 피네>라고 노래한 적이 있다. 청산에만 물이 흐르고 꽃이 피는 것이 아니라 누구라도 깨달음이 열리는 순간 자기 자신의 속뜰에도 물이 흐르고 꽃이 피어난다는 소식을 노래하였음이다. 아무리 상처가 깊어 눈앞이 막막하더라도 암자의 수행자가 따라주는 차를 한 잔 마셔보라. 차의 첫 향기에 슬며시 미소 짓는 수행자의 해맑은 얼굴을 보라. 자신도 어느새 암자의 종소리가 남긴 여음에 산그늘 접힌 청산처럼 귀 기울이고 있음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이때부터는 누구라도 자신의 속뜰에 물이 흐르고 꽃이 피어나는 새로운 인생길이 열리리라 믿는다,-작가의 말 가운데
앞서 출간된 암자 기행문들의 제목이  『암자로 가는 길』, 『길 끝나는 곳에 암자가 있다』 『암자가 들려준 이야기』 등으로 다만 독자를 암자로 인도하고 있다면, 이번 작품은 <깨달음의 노래>를 제목으로 하고 있는 만큼 작가에게 각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전국에 암자가 3천 여 개 있다고 하나 제법 그 형세를 갖춘 곳은 300여 곳. 7년의 세월을 암자 찾아 보내다 보니 이제는 웬만한 곳은 모두 돌아보았다. 이 책에서는 그동안 오지의 암자를 찾기 위해 미루어 두었던, 숙제처럼 남아 있던 유서 깊은 암자들을 중심으로 여행길을 꾸렸다. 이번 암자 기행을 마지막으로  마침내 작가는 떠돌이 나그네 생활을 접고, 전남 화순에 스스로 암자 한 채 지어 안에 들 준비를 하고 있는 것이다.
누군가가 이 책을 읽는 것만으로도 나의 경험과 합일되어 진정 위로가 되고 힘이 되었으면 싶다. 어쩌면 이 책이 나에게는 매우 의미가 있는 상징이 될지도 모르겠다. 이 책을 분기점으로 하여 나도 이제 떠돌이 나그네 생활을 청산하고 마음속에 그려둔 암자를 한 채 지어 청산에 살고 싶은 것이다. 작은 절이 가까이 있어 심성 고운 수행자가 머물고, 차나무를 심는 이웃이 산다면 얼마나 좋을까. 앞에는 대숲, 뒤에는 솔숲이 있는 삼 칸 규모의 암자를 하루에도 몇 번이나 짓고 허물고 하는 것이 요즘 나의 번뇌 망상이다.-작가의 말 가운데
아울러 책 곳곳마다 작가 자신이 직접 찍은 68컷의 암자 사진과 함께 암자 기행 말미에는 <가는 길>에 대한 간략한 안내가 덧붙여 있다. 무더위와 공해로 지친 도시인에게, 천혜 미답의 암자를 찾아 하루를 허비하는 일은 정녕 허비는 아니리라.


작가 소개

--

정찬주

"정찬주"의 다른 책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