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가 추천하는 아름다운 국내 정원 24곳

정원의 위로

삶의 균형을 찾아주는 나만의 시크릿가든 24곳

김선미

출판사 민음사 | 발행일 2024년 6월 15일 | ISBN 978-89-374-5675-6

패키지 반양장 · 변형판 140x200 · 576쪽 | 가격 25,000원

책소개

보살핌이라는 정원적 삶의 태도를 통해
소중한 삶의 균형감각을 찾는 마음 산책!

편집자 리뷰

● 전문가가 추천하는 아름다운 국내 정원 24곳

『정원의 위로』는 조경학을 공부하는 ‘산림교육전문가’가 국내 아름다운 정원과 공원을 소개하는 책이다. 저자는 꽃과 나무, 새소리와 숲의 매력에 빠져 국내외 많은 정원들을 방문했고, 우리나라에도 해외의 유명 정원들 못지않게 아름다운 정원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동안 방문한 수많은 개인 정원, 서울과 지방 수목원, 대형 국가정원 가운데 감동을 주는 이야기가 녹아 있는 24곳을 선정해 담았다. 『정원의 위로』는 아담한 마당의 장미정원에서 웅장한 수목원까지, 보살핌이라는 정원적 삶의 태도를 통해 소중한 삶의 균형감각을 찾는 마음 산책을 제안한다!

제가 요즘 정원들을 다니면서 깨닫는 것은 정원이야말로 문학, 예술, 자연, 산업, 과학, 동서고금을 망라하는 통섭의 장소라는 사실입니다. 무엇보다 마음의 부유물을 걷어내고 나 자신과 고요하게 대화할 수 있는 생명의 공간입니다.
―김선미, 『정원의 위로』에서

정원에서 우리는 무엇을 얻는가? ‘끊임없이 애정을 갖고 지켜보는’ 따듯한 유대감, ‘검소하나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나 사치스럽지 않은’ 미학적 감수성, 겨울 정원에서 찾아내는 낯선 아름다움, 미완성된 수수한 것들에서 발견하는 충만함, ‘화려하건 조용하건 모든 순간이 아름답다는’ 삶의 감각! 나만의 정원을 가꾼다는 것은 ‘자신만의 시를 쓰는’ 일이다. 정원 산책을 통해 위로와 회복이 있는 나만의 시크릿가든을 찾아 떠난다.

“조경은 땅에 쓰는 한 편의 시가 될 수 있고, 깊은 울림을 줄 수 있습니다. 하늘의 무지개를 바라보면 가슴이 뛰듯, 우리가 섬세히 손질하고 쓰다듬고 가꾸는 정원들이 모든 이들에게 영감의 원천이 되고 치유와 회복의 순간이 되길 바랍니다.”
―정영선(조경가, 영화 「땅에 쓰는 시」의 주인공)

● “평범한 일상을 감탄으로 채우는” 힘!

저자는 우리를 위로가 되는 공간으로 안내하면서 회복을 제안하기도 하고, 기존의 문법을 뒤엎는 공간을 소개하면서 새로운 도약을 촉구하기도 한다. 정영선 조경가가 정수장 폐허를 거친 풍경으로 활용한 선유도공원은 ‘공원은 말끔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긴 생명력을 갖게 되었다. 김봉찬 조경가는 꽃과 인공 장식이 주인공이던 정원 공식을 깨고 풀과 돌이 주인공인 이끼 정원 ‘베케’를 만들었다. “크고 아름다운 것들이 뽐내는 공간이 아니라 작고 조용한 것들이 편안함을 주는 ‘치밀하지만 엉성한’ 정원을 만들고 싶었어요.” 왜 이런 역발상이 필요할까? “상대방을 심오하게 만들어 주는 풀이 아름답습니다. 이곳에 무지개색이 즐비하다면 힐링하기 힘드니까요. 내 집에서 매일 잔치를 열면 주인은 피곤할 수밖에 없는 것과 같은 이치죠.”

저자는 정원에서 “힘들어도 꿋꿋하게 앞으로 나아가는” 삶의 태도, “평범한 일상을 감탄으로 채우는” 힘을 배운다. 그리고 “감탄의 순간들이 삶을 지탱하게 해준다는 것을” 깨닫는다. “되돌아보니 마음이 힘들지 않았더라면 정원에 이토록 깊이 빠져들지 않았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역경은 새로운 길을 낳기도 합니다. 그 길을 두려움 없이 걸어 보려고 합니다.” 정원 산책은 단순한 여가 활동을 넘어서 삶의 철학과 태도에 대해 숙고하게 해준다. 『정원의 위로』는 치유력이 있는 장소에 대한 이야기이면서 동시에 그런 공간을 만든 사람들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함박꽃나무를 닮은 저자가 아름다운 정원에서 직접 보고 느끼며 만난 사랑과 희망의 이야기를 담은 향기 나는 책입니다.”
―남성현(산림청장)

이 책에는 “올바른 목적에 이르는 길은 그 어느 구간에서든 바르다.” 같은 묵직한 괴테의 문장을 음미하게 하는 ‘여백서원’이 있는가 하면, “인생은 한 길만 있지 않아.”라고 유쾌하게 격려하는 ‘스누피가든’도 있다. 모과 냄새가 향긋한 ‘사유원’은 “세상에 없는 정원을 만들기로 결심한 결과”이며, 호암미술관의 ‘희원’은 영화 「땅에 쓰는 시」의 주인공 정영선 조경가의 한국적 미학의 결실이며, 아모레퍼시픽 원료식물원은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기업가적 혁신의 산물이다. 이 밖에 김영하 아보카도나무가 있는 국립세종수목원, 특별한 진념이 서려 있는 순천만국가정원, 목련의 종류가 가장 많은 천리포수목원, 치유가 있는 신구대식물정원, 그리고 홍경택 화가의 옥상정원처럼 예술가들이 쉼을 얻는 공간도 소개한다.

“이 책은 작지만 소중한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을 일깨워 줍니다. 수목원에서 그림 그리는 상상을 하게 되네요. 내 마음에도 감각의 정원을 가꾸고 싶습니다!”
―박신양(화가/국립수목원 배경의 영화 「편지」의 주인공)

작가 소개

김선미

꽃, 새, 별을 사랑한다. 그들이 사는 세상을 정성껏 가꾸는 정원사들을 부러워하고 존경한다. 《동아일보》에 「김선미의 시크릿가든」을 연재하고 있다. 오랫동안 예술과 패션을 사랑하다가 식물과 정원의 매력에 푹 빠졌다. ‘산림교육전문가’(숲해설가) 자격증을 취득했고 서울대학교에서 조경학 전공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30년 가까이 신문기자 생활을 해 오면서 『지금, 여기, 프랑스: 혁신, 창업, 교육, 문화, 예술 등 현재 프랑스를 말하다』, 『모녀지정: 우리 시대 어머니와 딸 20인의 이야기』 등을 출간했다. 삶의 순간마다 식물과 정원에서 얻은 위로를 나누고 싶어 이 책을 썼다. 정원의 아름다움을 깊이 탐구해 나가고 싶다.

독자 리뷰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