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너무 재미있어서 한줄한줄 아껴서 읽어내려갔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문학 소재 중 하나인 ’19C 프랑스’를 여지없이 진솔하게 보여주는 소설로 ‘사실주의’의 위상을 높여주는 명실상부한 작품이었다. 문학사 내 발자크의 다양한 업적들과 자리매김을 제하고라도 분명 그의 소설은 세대를 아우르는 고전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나는 <<인간희극>>을 대표하는 <고리오 영감> 1편을 읽었을 뿐이지만 발자크가 그의 소설에 그야말로 우리 삶의 축소판을 담아놓았다는 것을 여실히 알 수 있었다.
첫장에는 보케르 하숙집의 정경과 상황들이 다소 지루할 정도로 세세하게 표현된다. 그리고 곧이어 이 하숙집을 안팎으로 사회vs우리의 관계속 이야기가 유기적으로, 하지만 평행선을 달리듯이 펼쳐진다. 으레 그렇듯이, 우리는 이 사회의 구성요소로 살아가지만 그 속은 치사하고 이해할 수 없는 일 투성이 이면서도 우리는 어느새 다시 동화되어 있는 것이다.
순수한 청년 라스티냐크를 중심으로 포진되어있는 다양한 인물들이 그에게 각각 크고작은 영향력들을 행사하지만 그 중 영향력이 가장 컸던 인물들은 고리오 영감과 보트랭이다. 라스티냐크는 사회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복종]은 귀찮고 [반항]은 불가능하며 [투쟁]은 불확실 하다”
가정에 복종한 고리오 영감과 세상에 투쟁한 보트랭 사이에서 고리오 영감으로 하여금 일말의 도덕점 양심을 놓치지 않을 수 있었고 보트랭으로 하여금 달콤하지만 사악한, 악마적 계약을 통해 사회 위선의 모습을 여실히 배운다. 그 가운데서 우리의 순수했던 청년 라스티냐크는 황금만능주의에 물들어 사교계와 하숙집 사이를 오가며 끝내 ‘파리와의 대결’을 택한다. 그가 불가능하다 생각했던 [반항]을 선택함으로서 이 소설은 결말에서도 그 매력을 또 한번 발산한다. 발자크의 세계관을 엿볼 수 이는 부분이 아닌가 싶다.
내가 이 소설에 또 점수를 주는 부분은 바로 발자크의 객관성이다. 그는 어느 한가지 이념에 치우치지도 않고 그저 객관적인 사회 현상을 묘사해낸 것이다. 가난한 파리의 소시민들과 그와 대조되는 사교계. 또, 사랑과 명예 및 출세, 그리고 돈을 떠받드는 상류사회의 몰락들을 그려내면서 발자크는 한 사회를 끌어안은 것이다. 이하의 문장과 같이!
“보통 이러한 집단은 모든 사회적 요소들을 작은 규모로 나타내게 마련이고 또 실제로 그랬다”
이번엔 이 이야기를 고리오의 부성애로 촛점을 맞춰보자. 고전이 대대로 읽힐 수 있음은 어느 시대 어느 장소에서 읽어도 그 교훈이 무리없이 대입 될 수있기 때문일 것이다. 인간은 보통 자식을 자기 목숨보다도 사랑한다. 하지만 그 사랑의 대가는 한없이 잔인하고 커야만 했다. 아버지 고리오의 소원대로 두 딸은 나날이 자라며 풍요로워 지지만 아버지 고리오는 나날이 늙고, 죽어가고, 잃을 뿐이다. 하지만 이러한 대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마지막 고리오의 외로운 죽음을 통해 발자크는 고리오가 끝내는 딸들을 저주하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두 딸들은 아버지가 사경을 헤매는 상황에도 자신들의 하녀를 보낼 뿐이며 이런 상황이 되고나서야 비로소 고리오는 자신이 딸들을 너무 사랑해서 딸들로 부터 사랑을 받지 못했으며 자신이 더 이상 가진게 없기 때문에 딸들은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다고 고백한다. 이로 하여금 발자크가 보여주자 했음은 무엇이었을까? 난 인간의 속물 근성은 그 어떤 것도 대적할 수 없음을 보았다. 지상 위의 역사를 시작케 한 바로 그 ‘사랑’일지라도 인간의 속물 근성 앞에서는 무릎을 꿇는 것이다. 그런한 속물 근성이 다름아닌 내 옆사람에게 나 자신을 과시하기 위함이며, 가정을 파탄내는 한이 있더라도 사회에 만큼은 잘난체 하려는 것임을 생각해보면 정말 통탄할 일이 아닐 수가 없다. 누가 인간을 사회적 동물이라 했는가? 그 사회란 것은 인간에게 있어 어떠한 도움이 되는가? 사실 사회는 인간의 이기성을 가장 극대화 시키는 장치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