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음사 도서목록 | 보도자료 게시판 프린트 | 읽기도구 닫기

교만의 요새


첨부파일


서지 정보

부제: 성폭행, 책임, 화해

원제 Citadels of Pride

마사 너스바움 | 옮김 박선아

출판사: 민음사

발행일: 2022년 11월 25일

ISBN: 978-89-374-2745-9

패키지: 변형판 145x215 · 440쪽

가격: 24,000원

분야 인문/역사/문화, 정치/사회/경제, 학술 단행본


책소개

“완전한 성평등을 향한 화해는 법적 책임 위에서만 가능하다!”


목차

서문 9

 

1부 투쟁의 현장들 25

1장 대상화 — 사람을 물건으로 대하기 27

2장 지배라는 악덕 — 교만과 탐욕 55

3장 피해자 의식의 악덕 — 분노의 약점 87

 

2부 문제를 직면하기 시작한 법 113

소송의 영역 115

4장 성폭행에 대한 책임의 의무 — 간략한 법률사 125

5장 교만한 남성들의 직장 속 여성들 — 성차별적 성희롱 155

 

인터루드 201

 

3부 저항하는 요새들: 사법부, 예술, 스포츠 219

6장 교만과 특권 — 연방 사법부 229

7장 나르시시즘과 처벌 면제 — 공연 예술 263

8장 남성성과 부패 — 병든 대학 스포츠 세계 317

 

결론 375

 

감사의 말 393

주(註) 399


편집자 리뷰

●모든 차별과 폭력은 ‘교만’에서 비롯된 것이다

『혐오와 수치심』, 『타인에 대한 연민』 등 약자와 차별에 대한 섬세하고 예리한 통찰로 국내에서도 반향이 컸던 세계적인 석학 마사 너스바움이 성희롱과 권력 남용의 관계를 분석한 『교만의 요새』가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 법철학자 마사 너스바움은 모든 차별과 폭력이 ‘교만’에서 비롯된 것이며, 오랜 시간 외면하고 은폐해 온 성범죄의 기저에는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무시하고 권력을 비호해 온 법과 문화가 자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미투 운동과 피해자들의 공개적인 수사 요청 등으로 이전보다 피해자들의 목소리에 경청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었지만, 법적 보호 장치는 여전히 충분하지 않다고 말한다.

존 스튜어트 밀이 『여성의 종속』에서 밝힌, 남성들이 여성을 자발적인 노예로 만드는 방식부터 여성의 참정권 운동을 펼쳤던 엘리자베스 스탠튼의 연설, 포르노 산업에 전면으로 반대한 급진적 페미니스트 철학자 안드레아 드워킨에 이르기까지 여성이 대상화되고 착취되어 온 역사를 짚으며, 너스바움은 성범죄는 여성의 ‘대상화’에서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여성을 객체로 전락시키고 지배할 수 있다는 남성 지배 권력의 믿음은 타인을, 특히 여성을 온전히 실재하는 존재로 받아들이지 않는 교만에 빠지게 만들어 “평등한 존중이나 온전한 자율성을 부정”하는 일상에서 ‘젠더적 교만’을 가진 남성을 길러내고 있다.

1부에서는 ‘대상화’와 ‘교만’이 왜 성희롱의 근원인지 파헤치고, 2부에서는 다양한 사례를 통해 왜 법적 절차가 중요한지를 밝히며, 3부에서는 법조계, 예술계, 스포츠계에서 교만과 성희롱의 상관관계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살핀다.

 

●‘보복 감정’에서 벗어나 절차적 정의로

마사 너스바움은 미국법에서 법적 제도가 여성의 주체성을 인정하지 않았던 구체적 사례들을 인종차별의 역사와 함께 설명한다. 특히, 흑인 여성이나 가난한 여성이 당해야 했던 대상화와 판사들의 타당성 기준에 의존하여 강간 사건들이 재판되어야 했던 과거 사례들을 짚고, 인종 문제를 걷어내더라도 여전히 만연한 ‘강간 문화’의 현실을 신랄하게 비판한다.

1970년대에는 ‘죽음에 이를 정도로 심각한 남성의 무력 사용’과 ‘죽음을 무릅쓰고 저항하는 여성의 비동의’가 인정되어야 강간죄가 성립됐으며, 판사와 배심원의 개인적 기준에 의거하여 ‘정숙하지’ 않은 여성들의 강간 피해는 인정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페미니스트들은 피해 여성에게 부조리하게 적용되는 법 문화에 이의를 제기하였고, 그리하여 성관계에 대해 여성이 ‘싫다’라고 말하는 것은 교태가 아니라 명확한 비동의를 의미한다는 점, 피해 여성의 성적 이력이 사건을 판결하는 데 색안경이 되지 않도록 하는 점에서 성취를 이루었다.

이러한 투쟁사를 통해 너스바움은 집단적, 공개적으로 가해자에게 창피를 주는 행위가 절차적 정의의 자리를 결코 대신할 수 없음을 재차 강조한다. 법적 제도의 미비로 고통받고, 법이 정의를 구현하지 못한다는 불신에 가로막혀 보복주의적 승리를 갈망하는 일부 여성들에게 너스바움은 법적 책임을 통한 화해의 비전을 제시한다.

너스바움은 페미니스트들의 성취를 인정하며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들에 주목한다. 그는 권력의 부당한 사용, 공소시효 문제, 증거의 사용 방식, 신고 장려 등 성적 자율성과 주체성을 인정하기 위한 구체적 법적 절차들이 개선되어야 함을 피력한다. 너스바움의 분석은 처벌 대상으로서 성범죄를 어떻게 다루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고취하여, 성범죄로 얼룩진 한국 사회에도 경종을 울린다.

 

보복 감정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우리는 공유된 미래로 향해 함께 나아갈 필요가 있고, 여성과 남성들인 우리는 지금 시련을 회상하며 그 고통에 집착하기보다는 미래를 만드는 데 집중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고 해서 제도적인 해결책이 가해자 처벌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다. 처벌은 도움이 되며 종종 필요하다. 가해자들을 저지하기 위해, 사람들을 가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사회 규범을 보여 주기 위해, 선행의 중요성에 대해 전체적으로 교육하기 위해 필요하다.

―마사 너스바움, 『교만의 요새』에서

 

●화해는 ‘법적’ 책임을 통해 이뤄져야 한다!

 

너스바움은 성범죄를 소송의 영역으로 들여와야 한다고 말한다. 보편성을 띠는 법을 통해 일터에서 성범죄와 폭력에서 보호받을 권리를 보장받고, 법에 근거하여 처벌해야만 섬세하고 공정하게 가해의 심각성을 가늠할 수 있으며 적법한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보복주의를 따를 때 분노는 강력함과 중요성을 모두 잃는다. 너스바움은 이미 벌어진 일을 밝히고, 동시에 개선책을 찾는 미래 지향적인 ‘이행 분노’로 저항하며 가해자에게 법적 책임을 지우고, 공유된 미래를 향해 함께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여성과 남성인 우리는 시련을 회고하며 그 고통에 집착하기보다는 미래를 만드는 데 집중해야 한다. (……) 정당화된 비난과 끝없는 경계의 시대에 나는 페미니스트들이 무엇보다도 사랑하는 사람들이 되어야만 한다고 믿는다. 자신의 목소리를 들어주기 바라는 여성들처럼, 우리는 차이를 인정하고 서로에게 귀를 기울이기로 마음먹어야 한다.

―마사 너스바움, 『교만의 요새』에서


작가 소개

--

마사 너스바움

(Martha C. Nussbaum, 1947-)

 

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지식인으로, 2014년 인터넷(영어)에서 가장 많이 인용, 검색, 링크된 사상가 22위에 선정되었다. 법철학자, 정치철학자, 윤리학자, 고전학자, 여성학자로서, 《포린 폴리시》가 선정한 ‘세계 100대 지성’에 두 차례(2005, 2008년)나 뽑힌 석학이다.

시카고대학교 로스쿨과 철학과의 법학・윤리학 석좌교수이며, 고전학과, 신학과, 정치학과에도 소속된 교수이다. 미국철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비교헌법센터를 설립하였으며 인권프로그램 위원이다. 유엔대학 직속 세계개발경제연구소의 자문위원으로 있으면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아마티아 센과 함께 UN인간개발지수(HDI)를 만드는 데 기여했다. 뉴욕대학교에서 연극학과 서양고전학을 공부하고, 하버드대학교에서 고전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로 고대 그리스·로마 철학, 정치철학, 페미니즘, 윤리학에 관심을 갖고 깊이 있는 연구를 바탕으로 독창적인 저서들을 발표하여 매번 화제가 되고 있다. 특히 그리스 비극을 통해 인간의 취약성과 윤리적 딜레마를 다룬 ��선의 연약함(The Fragility of Goodness)』(1986)으로 학자적 명성을 얻었으며, 『열망의 치유(The Therapy of Desire』(1994), 『성과 사회 정의(Sex and Social Justice)』(1998), ��사고의 격변(Upheavals of Thought)』(2001)에서는 감정과 정의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현대 자유주의 사회에서 감정의 역할과 이를 둘러싼 법적 문제를 다루었다. 또한 『인간성 함양(Cultivating Humanity)』(1997), 『공부를 넘어 교육으로(Not for Profit)』(2010) 등을 통해 인문 교양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 밖에 『시적 정의(Poetic Justice)』(1995), 『사랑의 지식(Love’s Knowledge)』(1990) 등이 있다.

 

"마사 너스바움"의 다른 책들

--

박선아 옮김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현대 미국시의 모성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뮤리얼 루카이저의 『어둠의 속도』를 번역했고, 주로 여성 작가들과 학자들의 저작을 번역하고 연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