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무늬 비닐 커튼

채호기

출판사 민음사 | 발행일 2021년 10월 29일 | ISBN 978-89-374-0910-3

패키지 양장 · 변형판 124x210 · 128쪽 | 가격 10,000원

책소개

침전하는 언어와 폭발하는 충동,
거듭해서 태어나는 최초의 세계

편집자 리뷰

채호기 시인의 여덟 번째 시집 『줄무늬 비닐 커튼』이 민음의 시 290번으로 출간되었다. 채호기 시인에게 ‘수련의 시인’이라는 별칭을 안겨 준 역작 『수련』 이후 19년 만에 선보이는 연작시집이다.
『수련』을 분기점으로 시인은 ‘언어’를 인간의 정신적인 활동에 동원되는 도구가 아닌 하나의 독립적인 물질성을 가진 질료이자 신체를 가진 개체로서 발견해, 그 물질성을 통해 언어와 실재의 간극을 좁히는 실험을 이어 왔다. 또한 시인은 삶을 부여하는 물질 ‘신체’와 정신을 구성하는 물질 ‘언어’의 접점이 되는 장소로서 ‘자아’에 주목해 왔는데, 특히 이번 시집에서 시인은 자아의 끝없는 해체와 경계의 허묾으로 오직 언어의 신체로 감각할 수 있는 세계를 그려 내며 오랜 시력을 다해 천착한 이 실험의 정점이자 시적 상상력의 극한을 펼쳐 보이고 있다.
총 29편의 연작시로 구성된 이번 시집 『줄무늬 비닐 커튼』은 의식이 자아의 경계를 잃은 후 소리뿐인 ‘말’이 되어 태어난 순간에서 그 대장정을 시작한다. ‘말’은 물속에 떨어진 돌처럼 신체 내부로 깊이 침잠해 들어간다. 몸속은 이름 없는 충동들이 부딪쳐 발생하는 반동의 힘과 무수한 자아가 서로를 발견하며 만들어 내는 긴장감으로 가득하다. 시인은 이 충동들, 언어와 의미가 부딪쳐 빚어내는 찰나의 빛과 힘을 받아쓴다. 순식간에 사그라들어 아무 흔적도 남기지 않는 이 빛은 언어의 극한에 가닿고자 거듭 한계를 넘어온 시인에 의해 비로소 완전한 삶과 죽음의 순환 고리를 형성하며 거대하고도 독립적인 하나의 신체이자 세계로 완성되었다.


 

 

■ ‘나’는 나의 반복일 때만 나다
기포들이 떠오른다, 물속에

그걸 보고 있는 유리통 밖의
내가 아닌,
유영하는 기포가 나인, 그리고 또한
말이 나인데, 물속의 공기 방울
들리지 않는 ……
―「물속의 공기 방울」에서

『줄무늬 비닐 커튼』은 질주하는 눈 폭풍 가운데 “한 송이 흰 것의 멈춤”이라는 고요하고도 강렬한 사건으로부터 시작된다. 이 “흰 것”은 곧 “문장”이 되고, 문장은 몸 안을 통과한 상처이자 하나의 틈이 되어 ‘자아’를 열고 들어간다. 이어지는 다음 시 「물속의 공기 방울」에서 자아는 유리통을 채운 물속을 떠오르는 “기포”가 되어 있다. 기포는 수면에 닿는 순간 터져 죽으며 소리 즉 “말”이 되어 다시 태어난다. 경계를 잃은 화자는 ‘나’를 떠나 ‘( )’가 되어 버린 나의 몸을 탐험한다. 이 탐험에서 신체는 온갖 충동들이 기거하는 장소로 밝혀진다. 암흑 덩어리 같은 신체 속에서 타오르는 충동들, 그 너머에서 마주하는 것은 다름 아닌 무수히 많은 ‘나’들이다. 오래전 죽은 시인들과 그들이 살던 시공간이 “숱한 나들”이 되어 지금 이곳에 소환된다. ‘나’는 ‘나’이자 ‘나 아닌’ 존재, 무(無)이자 모든 것이 된다. 그렇게 시인은 자아가 지워진 ‘나’가 바라보는 풍경, 곧 제 죽음의 풍경을 두려움 없이 응시한다. 자아라는 지표를 잃은 의식의 시공간에 무한이 밀려들어 오는 풍경을.


 

 

■ 최초의 세계는 거듭거듭 생긴다

시 쓰기는 언어를 궁지로 몰아

쥐구멍에 빠뜨리는 일이다

언어 없이 사유할 수 있을까

시는 이미지로 사유하는 것

이때 언어는 덫에 걸리고

불구가 된 채

사라지지 않고 부스러기가 되어

그 물질성으로 이미지의 디테일을 구성한다

이미지에 불이 켜지면

언어는 그 그림자의 암흑 속으로 사라진다

사라져 없어지지는 않고, 빛을 빨아들인

검은 반죽으로 잠재한다

―「우뚝한 돌 그리고 구멍」에서

 

채호기 시인은 글쓰기를 “흰 종이 위에 검은 구멍을 파는 일”이라고 말한다. 해설을 쓴 김예령 번역가는 이 문장을 두고 “흰 종이 위로 언어의 완강한 질서를 들이받아 구멍을 뚫으려”는 시도이자 그 진동으로 지면(紙面)이라는 백색 들판에 솟는 “우뚝한 돌”을 만나려는 시도라고 본다. 즉 시인에게 시 쓰기란 언어가 세계를 재현한다는 기존의 관념과 질서를 전복하는 동시에 오직 언어 내부로부터 의미를 길어 올리려는 불가능한 시도인 것이다. 채호기 시인은 2009년 발표한 산문에서 시인에게 언어는 외부가 아니라 중요한 신체 일부로서 포함되어 있다고 말하며, 시를 쓰기 위해 신체에서 끄집어낸 언어는 곧 그 자체로 존재하는 언어, “돌의 언어”라고 명명한바 있다. 이번 시집에 이르러 시인은 “지면에 돌과 구멍이 맞물릴 때/ 최초의 세계는 거듭거듭 생긴다.”(「지면」)고 선언한다. 하지만 이 세계는 발생하는 즉시 사라진다. 의식이 포착하지 못한 찰나 언어 아래로 빠져나가는 의미들처럼, 언어와 의미의 완벽한 일치는 일시적인 마찰로 한순간 타오르는 섬광과 같다. 그럼에도 시인은 빛 다음에 찾아온 어둠을 “빛을 빨아들인/ 검은 반죽으로 잠재한다”고 말하며 빛의 귀환을 기다린다. 도살장에서 신체의 도륙을 온전히 느끼며 죽어 가는 ‘나’가 몸 안의 ‘그’와 한순간 존재의 자리를 뒤바꾸며 다시 한 번 생을 도모하는 마지막 시 「끝을 통과하는 지금」처럼, “그의 살에 살아남아 말하고 쓰며, 그의 뼈에 살아남아 계속 생각한다.”고 말하며 영원히 반복될 환생을 선언한다.

 

신체는 장소다.

새들이 앉았다 날아가는 나무,

개미들이 줄지어 지나가는 나무,

바람이 지나가며 바람의 표정을 일으키는,

그게 지나가는 나무의 표정이듯 우연의 장소다.

―「이제 나는 떠났다」에서

 

자기 자신이 입? 사람이 입이라고 하면, 사람이 얼굴이면 목 아래는 무엇인가?

팔과 다리 없는 사람은 물론 있지. 그러나 발바닥 없는 사람은 없어. 입과 혀와 목구멍 없는 사람이 없듯.

그러면 그렇지, 말이다, 이 지면에 검은 구멍이 있듯.

―「질문이 무너진다」에서

 

비좁은 장소에 촉각이 난무하며 기승을 부린다.

네게 꼬리가 있었다니 놀랍다. 꼬리가 없는 것들보다 꼬리가 있는 것들이 더 많으니 놀랍다는 내가 더 놀랍다고 너는 말하겠지.

눈으로 봤다면, 모든 것을 그렇게 믿어 버렸을 것이다. 네 꼬리가 목덜미를 스치거나, 얼굴 특히 콧잔등이나 인중을 쓰다듬고 지나갈 때, 나는 내게 꼬리가 있다는 것을 어렴풋이 짐작했다, 너는 나니까, 적어도 나만은 내가 너의 안쪽에 있다는 걸 믿으니까.

―「이동, 꼬리」에서

 

내 근육 안의 그가 살아남아 꿈틀한다. 내 안의 그가 살아남아 도르래를 이용하여 내 몸체를 천장에 매달아, 사다리에 올라서서 전기톱으로 내 몸을 잘라 이등분한다, 내 몸 안의 그가 살아남아, 무게를 잰다.

그는 죽었고, 나는 살아남아, 그의 살에 파묻힌 뼈를 발골하였고, 그는 살과 뼈로 분리되었다.

그는 죽었고, 그가 생각하고, 말하고, 쓰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나는 그의 살에 살아남아 말하고 쓰며, 나는 그의 뼈에 살아남아 계속 생각한다.

―「끝을 통과하는 지금」에서


“아무것도 아닌”이 일어났고, 일어난다. 의식이 아무리 스스로를 나누고 부숴 사라짐에 점근하려 한다 할지라도, 헛일이다, 그 많은 나들이 언제나 ‘나’로 수렴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런데, 바로 그렇기에 역설적으로, 사라지는 시는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시적인 생성에는 실패가 예정될지언정 끝이 오지 않는다는 것일까. 끝은 늘 시작의 형태로 다시 온다.

― 김예령(번역가·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강사)┃작품 해설에서

목차

자기부상 : 자기분석

(자기부상 : 자기분석 ) 11

물속의 공기 방울 12

이제 나는 떠났다 15

신체가 있다 18

망각, 모르는 게 뭔지 모르는 두려움 22

미로 미러 미궁 28

내 앞에 있는 이 사람은 내가 아니야 31

엑스레이 35

histrionism 37

자기부상 : 자기분석 44

자신을 알기 위해 48

질문이 무너진다 51

우뚝한 돌 그리고 구멍 54

지면 58

아무것도 아닌 61

컨테이너 바다 65

아아, 기어이 내가 너를 죽였구나 69

이명 73

무대 설치를 위한 도면 76

시에게 쓰던 물을 뺏기고 말았네 80

물에다 쓰던 시를 베끼고 말았네

마찰과 운동 83

구혼자들의 고백이 발가벗겨지는 회로 87

여와 남 90

어둠을 파고드는 스파클러 반짝이는 침엽 93

딸기에서 96

가죽 안에 99

이동, 꼬리 101

계류 104

끝을 통과하는 지금 107

작품 해설 111

계류와 점화의 시 _ 김예령(번역가 ·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강사)

작가 소개

채호기

1988년 《창작과비평》을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지독한 사랑』 『슬픈 게이』 『밤의 공중전화』 『수련』 『손가락이 뜨겁다』 『레슬링 질 수밖에 없는』 『검은 사슴은 이렇게 말했을 거다』, 산문 『주고, 받다』(공저)가 있다. 김수영문학상, 현대시작품상을 수상했다. 현재 서울예술대학교 문예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독자 리뷰(1)

독자 평점

5

북클럽회원 1명의 평가

도서 제목 댓글 작성자 날짜
a
아노말리사 2021.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