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를 생활의 유일한 연장으로 삼은 일엽편주의 삶
아직 낡은 시대에 선보인 찬란한 서정의 조각들
어제 가엾다고 본 일은 어제의 가여움이다. 오늘 자신이 할 일은 끊임없이 있기 때문에 잊는다는 생각도 없이 잊으니 삶은 꿈만 같다. 이슬 같은 세상이라고 하면 눈물이 절로 떨어지겠으나 그보다 더 부질없는 일은 없다. ㅡ「가는 구름」에서
2004년 선보인 일본 화폐의 주인공으로 익숙한 근대 소설가 히구치 이치요. 극심한 가난에 시달린 그녀의 짧은 생을 돌이켜보자면, 고액권 화폐 속 그의 초상은 얄궂은 농담 같다. 아버지와 큰오빠의 죽음으로 16세에 호주가 된 이치요는 실질적인 집안의 가장으로서, 생계 수단을 소설로 삼은 전업 작가다. 메이지 시대 초, 아직 불안정한 미디어였던 ‘소설’에 본인과 가족의 삶을 태우고 나서, 그는 나쓰라는 본명 대신 달마대사가 강을 건널 때 탔다는 일엽편주의 이름을 빌려 이치요(一葉)라 자처한다. 상류층 사교계 등 협소한 세계의 경험, 결혼이라는 대단원 구성이 주되었던 당시 여성 소설의 스펙트럼을 훌쩍 벗어나, 다양한 처지의 여성들 삶과 고뇌를 그려 낸 히구치 이치요의 문학은, 그저 자신에게 떨어진 조건 너머로 본인 스스로 설정한 한층 중요한 것, 즉 문학을 향한 소신을 단호한 에너지로 뿜어낸다.
그간 여러 판본으로 흩어져 있던 서정성 짙은 단편들을 한데 모은 데 더해 상당량의 초역을 실은 쏜살문고 소설집 세 권 『가는 구름』, 『꽃 속에 잠겨』, 『배반의 보랏빛』은 히구치 이치요의 소설 22편 전부를 감상할 수 있는 드문 기회를 선사한다. 옮긴이는 젊고도 세심한 번역으로, 작가가 삶의 도정에서 가졌을 법한 사상 내지는 사고의 경향이 헤아려지도록 각 권마다 전·후기작을 아울러 목차를 구성하고 표제작을 선정했다. 1권에는 데뷔작인 「어둠 진 벚꽃」을 비롯, 「마지막 서리」, 「도랑창」 등 이치요의 명단편이 담겨 있다. 이번 소설집 표지를 장식한 일러스트레이터 마리아 메뎀의 단순하고도 상징적인 선과 색상은, 지난 시대이자 먼 공간에 자리한 소설가의 목소리와 어우러지며 색다른 울림을 조성한다. 현실의 진창 속에서도 줄곧 추구하고, 끝내는 붙잡아 낸 히구치 이치요의 진실이 발하는 빛을 마주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어그러지고 비껴가는 사랑,
그 속에서 도드라지는 진실의 순도
제등의 불이 흔들리며 여러 번 꺼져 상가에서 불씨도 두어 번 빌렸다. 차부 역시 길에 밝지 않은 것일까. 아직 이 일에 익숙하지 않은 것일까. 같은 길을 오가고 있으니 답답할 만도 한데 말이 거칠어지지도, 가기를 그만두지도 않으며 들은 대로 길을 갔다. 밤이 점점 이슥해져 갔다. 인적은 드문드문해졌지만 눈은 더욱 기세를 더해 내리고 또 내렸다. ㅡ「마지막 서리」에서
에도의 끝점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메이지의 시작점, 출세와 성공에 대한 욕망이 솟아오르는 과도기적 세계에서는 남녀의 소박한 사랑조차 쉬이 보답받지 못한다. 「마지막 서리」는 가문 간 모략으로 갈등의 골이 팬 연인의 이별과 그 관계의 변모를 다룬 작품이다. 가세가 기운 주인공은 인력거꾼이라는 가여운 신세가 되고, 하루는 귀한 손님을 모시게 되지만 이 손님이 애꿎게도 길답지 않은 길로 가 달라고 주문하여 의아해하면서도 발길을 재촉한다. 알고 보니 손님은 아직도 마음이 변치 않은 옛 연인이다. 수년이 지난 뒤에도 이들의 마음은 변치 않고, 세상이 허락하는 테두리 안으로 편입되지 못한 이들의 의리는 참담히 끝맺는다.
삶의 이정표를 놓친 소외된 사람들,
이들을 주목하는 시선의 굳건한 이정표
오가는 사람들의 얼굴이 작게들 보였고 스치는 사람들의 얼굴도 아득히 먼 풍경을 보는 것만 같았으며, 자기가 밟고 있는 땅만이 한 장이나 위로 돋워진 듯 왁자지껄한 말소리는 들려오지만 우물 바닥에 무언가를 떨어뜨린 듯한 울림으로 느껴져 사람들 목소리는 사람들 목소리, 내 생각은 내 생각이라는 식으로 따로 떨어졌다. ㅡ「도랑창」에서
근대의 어두운 거리를 배회하는 일탈자들은 서로 연민의 정을 느끼지만, 이들은 힘이 없다. 「도랑창」의 겐시치는 유녀에게 이끌려 제 삶의 키를 놓침으로써 가정의 몰락까지 불러오는 인물이다. 사회와 가정, 본인의 삶에서조차 소외된 이들은 탈출을 향한 동경을 변명으로, 삶을 내던지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궁핍한 현실 세계에서 과연 삶의 무게와 죽음의 무게, 어느 것이 더 무거운가에 대해 소설은 줄곧 냉소하는 듯하다. 그러나 종국에 삶을 내동댕이칠 수 있는 혹은 내동댕이칠 수밖에 없는 존재를 그려 내는 작가의 붓에는, 짧은 생에서나마 이들이 감행해 나가는 분투 또한 빠짐없이 포착된다.
어둠 진 벚꽃
마지막 서리
새벽달
가는 구름
매미 허물
도랑창
헤어지는 길
작가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