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사 삼국지 오서

진수 | 옮김 김원중

출판사 민음사 | 발행일 2007년 3월 9일 | ISBN 978-89-374-2584-4 [절판]

패키지 양장 · 변형판 136x201 · 784쪽 | 가격 30,000원

분야 논픽션

책소개

삼국유사』, 『사기 열전』을 옮긴 김원중 교수의 역작! 진수陳壽의 『정사 삼국지』 국내 최초 완역 ‘소설’의 허구에 가려진 진짜 역사를 본다조조, 유비, 손권, 제갈량 등 난세를 통해 웅비한 역사 속 영웅들의 참모습을 읽는다나관중羅貫中의 소설 『삼국연의三國演義』의 모본이진수가 지은 『정사 삼국지正史 三國志』임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나관중 자신도 『삼국연의』의 앞머리에 “진나라 평양후 진수가 남긴 역사 기록을후학 나관중이 순서에 따라 편집했다.”라고 분명하게 밝혔으니 말이다.청나라 중기의 역사가 장학성章學成이”칠실삼허七實三虛(열 중 일곱은 사실이고 셋은 허구다.)”라고 하였듯이『정사 삼국지』가 없었다면 소설은 탄생하지 못했을 것이다.-역자 서문 중에서

편집자 리뷰

▶ 진수(陳壽)의 『정사 삼국지』 국내 최초 완역 나관중(羅貫中)의 소설『삼국연의(三國演義)』의 모본인 진수의 『정사 삼국지(正史 三國志)』의 완역본이 (주)민음사에서 나왔다. 이 책은 위, 촉, 오 삼국의 역사를 나라별로 기록한 기전체(紀傳體)의 정사(正史)이다. 격동기 후한 말을 배경으로 수많은 영웅 호걸의 인간형을 격조 높은 문장으로 기록하고 있기에, 『사기(史記)』, 『한서(漢書)』, 『후한서(後漢書)』와 함께 중국 전사사(前四史, 중국 고대사를 대표하는 네 사서)로 불린다. 청나라 건륭제 때 정리된『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에서는 『정사 삼국지』를 가리켜 “수미(首尾)가 완비되어 있으며 재단하고 찢어발긴 글이 아니다. 따라서 고증의 대가가 소재를 취함에 끊임이 없고 두루 인용의 근거를 찾는 것은 도리어 대부분 진수의 이 책에서 찾는다.”라고 평한다.▶ 우리 고대사의 보고(寶庫), 『정사 삼국지』최근 동북 공정을 둘러싼 여론이 뜨겁다. 중국은 일찍이 고대사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우리 민족의 영산 백두산을 창바이 산(長白山)이라고 부르며 1960년 4월에 지린 성의 성(省)급 자연 보호구로 지정하고, 2006년에는 유네스코 세계 자연 유산의 등록 후보로 선정하여 유네스코 세계 지질 공원 등록을 추진하는 등 50년 전부터 준비했다. 아울러 중국의 정사(正史) 24사 전체를 국가사업의 일환으로 지정하고, 전국의 권위 있는 학자 200여 명을 역자로 참여시켜 『이십사사전역(二十四史全譯)』 88권을 출간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들은 그들의 역사적 전통을 자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 과시하고자 하는 무력시위나 다름없다. 이처럼 중국이 정부와 학자들 간에 공조 체제를 이루고 조직적인 역사 왜곡 사업을 벌이고 있는 데 비하면, 우리의 대응은 미흡하기 짝이 없다. 우리의 고대사 관련 번역 작업은 국사 편찬 위원회에서 『삼국지(三國志)』「위서(魏書)」「동이전(東夷傳)」의 일부분을 떼어내 번역 출간한 것이 있을 뿐이다. 특히 『정사 삼국지』에는 「동이전」에 소개된 부여, 고구려, 옥저, 예, 한 등 우리 조상의 역사는 물론 관구검(毌丘劍)이 고구려를 침략한 일, 사마의가 공손연을 토벌할 때 고구려에서 수천 명을 보내 구원한 일 등 우리 고대사와 관련된 자료가 무수히 담겨 있는데도 그동안 한 번도 정식으로 번역된 적이 없었다. 이 책은 지금까지 우리에게 불모지나 다름없었던 중국사 부문에서 24사 중 한 권을 완역한 최초의 학문적 성과물이다. ▶ 정사를 통해 본 소설 『삼국지연의』의 실체 나관중(羅貫中)의 소설『삼국연의(三國演義)』의 모본이 진수가 지은 『정사 삼국지(正史 三國志)』임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나관중 자신도 『삼국연의』의 앞머리에 “진나라 평양후 진수가 남긴 역사 기록을 후학 나관중이 순서에 따라 편집했다.(晉平陽侯陳壽史傳, 後學羅貫中編次.)”라고 분명하게 밝혔다. 청나라 중기의 역사가 장학성(章學成)이 “칠실삼허(七實三虛, 열 중 일곱은 사실이고 셋은 허구다.)”라고 하였듯이『정사 삼국지』가 없었다면 소설은 탄생하지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정사가 번역되어 나오지 못한 탓에 식견 있는 독자들마저 소설 『삼국연의(三國演義)』가 정사인 것으로 오판하는 등 『정사 삼국지』는 소설의 빛에 가려져 있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삼국연의』의 허구와 과장으로 인해 그동안 우리가 왜곡된 역사를 진실인양 받아들여 왔다는 점이다. 소설 속 왜곡된 역사들의 바탕에는 ‘촉한정통론(蜀漢正統論)’이 자리 잡고 있다. 나관중은 원말 명초 시기를 살았기에 한족이 몽골족에 지배를 당하는 현실을 비통해하였고, 한족의 정통성을 기치로 내걸고자 천 년 전에 사라진 한나라를 이상으로 삼았다. 이는 곧 한(漢) 황실을 계승한 유비의 촉나라가 정통성을 가졌다는 촉한정통론으로 이어졌다. 이후 소설 속 촉한정통론은 한족이 이민족의 지배를 받거나 정치적 결속력을 다져야 할 때마다 강화되었고, 청나라 모종강의 재편집을 거쳐 오늘날까지 지속되었다. 건안 문단(建安文壇)을 선도한 시인이자 문학과 사상의 진흥에 앞장선 문치(文治)의 제왕으로 정사에 기록된 조조(曹操)가 소설에서 극악무도하고 파렴치한 인물도 탈바꿈하고, 유능한 정치가이기는 했지만 군사는 잘 쓰지 못했던 제갈량이 신출귀몰한 군사 전략가로 변신한 데에는 이러한 정치적, 사상적 배경이 있다. 이는 소설이라는 형식을 빌리긴 했지만 『삼국연의』의 허구성이 심상치 않음을 보여 준다.실제로 『정사 삼국지』를 보면 『삼국연의』에 나오는 명장면들이 대부분 허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대표적인 것이 유비, 관우, 장비가 도원결의 하는 장면, 관우가 술이 식기 전에 화웅의 목을 베는 장면, 왕윤이 초선을 이용하는 연환계, 유비가 삼고초려하여 제갈량을 영입하는 과정, 제갈량이 동풍을 불러들이는 장면 등인데, 대부분 촉한정통의 기준에 따라 촉나라의 인물들을 미화하는 데 이용되고 있다. 반면에 「위서」「동탁전」에서 뛰어난 장군이자 개혁가의 면모를 보인 동탁은 단지 변방 출신이라는 이유만으로 소설에서 희대의 패륜아로 매도되기도 한다. ▶ 저자 소개 / 진수(陳壽) 진수는 자가 승조(承祚)이며 파서군(巴西郡) 안한현(安漢縣)이 본적이다. 위, 촉, 오 삼국이 대치하던 시대인 촉나라에서 233년에 태어나 진나라에서 벼슬하다가 원강(元康) 7년(297년)에 6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부친의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다. 단지 촉나라 마속(馬謖)의 참군(參軍)을 지내다가 마속이 참수당하자, 제갈량에게 머리를 깎이는 곤형(髡刑)을 받았던 불명예스러운 사적만이 전할 뿐이다.일찍이 같은 성도(成都)의 저명한 역사학자인 초주(譙周)에게 태학(太學)에서 학문을 익혀『상서』,『춘추』,『사기』,『한서』 등을 읽었고 글재주가 있었다. 그 후 \’양사지재(良史之才, 훌륭한 역사적 재능)를 인정받아 산기시랑散騎侍郞에 임명되었다. 진나라 무제 태강 원년(280년) 오나라가 멸망할 무렵 『정사 삼국지』를 완성했다. 당시 하후잠(夏候潛)이라는 사람도 『위서(魏書)』를 저술하고 있었는데 진수의 책을 보고 나서 자신의 책을 찢어 버렸다는 일화가 있다. 『정사 삼국지』 편찬 작업을 마친 후, 진남대장군(鎭南大將軍) 두예(杜預)가 진수의 지식이 깊고 넓음을 알고는 표를 올려 산기시랑(散騎侍郞)으로 임명을 추천했다. 진수가 훌륭히 임무를 감당했으므로 황제는 다시 그를 치서어사(治書御史)로 임명하여 곁에 두었다. 후에 모친이 세상을 떠나자 다시 관직을 버렸다. 몇 년 후, 태자중서자(太子中庶子)로 기용되었으나 나가지 않고 있다가 병사했다.저작으로는『고국지(古國志)』 50편,『석휘(釋諱)』,『광국론(廣國論)』,『진박사(晉駁事)』 4권,『진탄사(晉彈事)』 9권,『익부시구전(益部蓍舊傳)』 10편, 『익부시구전잡기(益部蓍舊傳雜記)』 2권, 『관사론(官司論)』 7편, 『제갈씨집(諸葛氏集)』 24편, 『한명신주사(漢名臣奏事)』 30권, 『위명신주사(魏名臣奏事)』 40권 등이 있다. 이상 12종의 저술은 모두 250여 권에 달하지만 그중에서『삼국지』가 가장 영향력이 크다. ▶ 역자 소개 / 김원중충북 보은에서 출생하여 충남대 중문과와 동 대학원을 거쳐 성균관대학교 중문과에서 중국 고전 문학 이론으로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대만중앙연구원 중국문철연구소의 방문 학자와 대만사범대학 국문연구소의 방문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건양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중국문화사』, 『중국문학이론의 세계』, 『중국문화의 이해』 등이 있고, 편저서로는 『고사성어백과사전』, 『허사대사전』, 『허사소사전』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사기열전』, 『사기본기』, 『삼국유사』, 『정관정요』, 『한비자』, 『당시』, 『송시』 등이 있다. 「위진현학가의 자연관의 사유체계와 문론가에 끼친 영향」을 비롯하여 30여 편의 학술 논문을 발표했다.

목차

오서 해제 차례 일러두기 1 손파로토역전 손견전| 동탁을 물리쳐 낙양에서 쫓아내다 손책전| 강동을 평정해 나라의 기틀을 놓다 2 오주전 외교와 인사로써 수성에 성공한 시대의 영웅 손권 3 삼사주전 손량전| 권신들에게 휘 둘리다가 폐출되어 자살하다 손휴전| 가신에 의지하다 새 정치에 실패하다 손호전| 포악하여 형벌을 남용하다가 나라를 망치다 4 유요태사자사섭전 유요전| 예장에 근거해 손책과 싸우다 태사자전| 신의와 의기가 넘쳤던 활의 명수 사섭전| 높은 학식과 노련한 처세로 장수한 남월의 지배자 5 비빈전 오 부인전| 군사와 행정에 밝았던 손견의 어진 내조자 사 부인전| 손권의 총애를 잃고 요절하다 서 부인전| 기어이 황후에 오르지 못한 비운의 여인 보 부인전| 손권의 총애를 얻으려고 첩실을 권하다 왕 부인전| 대의황후로 추존된 손화의 어머니 왕 부인전| 경의황후로 추존된 손휴의 어머니 반 부인전| 손량을 낳고 황후에 올랐으나 첩들에게 죽다 전 부인전| 오의 두 번째 황후였다가 폐위된 후 피살되다 주 부인전| 손호에게 팝박받아 죽다 하회전| 고아가 된 손호를 길러 소헌 황후로 추존되다 등 부인전| 손호와 고략을 함께한 오의 마지막 황후 6 종실전 손정전|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고향을 지키다 손유전| 행군 중에도 경전을 외다 손교전| 여몽과 함께 관우를 사로잡고 형주를 평정하다 손환전| 아둔하였으나 노력하여 명장에 오르다 손분전| 손견과 함께 거병하고 손책을 도와 강동을 평정하다 손보전| 조조와 밀통하다가 유폐되다 손익전| 과감하고 날래었으나 종에게 암살되다 손광전| 나이 스물에 세상을 떠나다 손소전| 수십 년 동안 오의 변방을 지킨 명장 손환전| 육손과 함께 유비의 대군을 물리치다 7 장고제갈보전 장소전| 평생 목숨을 걸고 직언을 하다 고옹전| 승상으로 지모를 다해 손권을 보좌하다 제갈근전| 주군의 심중을 먼저 읽고 덕으로써 섬기다 보즐전| 능력 위주의 인재 등용을 건의하다 8 장엄정감설전 장굉전| 전쟁에 앞서 늘 수성을 건의한 행정의 달인 엄준전| 노숙의 후임을 사양한 정통 경학자 정병전| 유학자로 3만여 자의 저술을 남기다 감택전| 남에게 경전을 필사해 주면서 외워 큰 학자가 되다 설종전| 높은 학문과 뛰어난 문장으로 명성을 떨치다 9 주유노숙여몽전 주유전| 적벽에서 조조를 물리쳐 강동 진출을 저지하다 노숙전| 유비와 연합하여 조조와 맞서게 하다 여몽전| 계책으로써 관우를 죽이고 형주를 탈환하다 10 정황한장주진동감릉서반정전 정보전| 손씨 삼대에 걸쳐 난적을 토벌하다 황개전| 적벽에서 화공을 건의하여 대승을 거두다 한당전| 용맹과 지략으로 전쟁마다 승리를 이끌다 장흠전| 강남의 도적들을 토벌한 청빈한 덕장 주래전| 열두군데 상처를 입으면서도 끝내 손권을 지키다 진무전| 합비 전투에서 장렬하게 전사하다 동습전| 황조를 토벌하는 선봉에 서다 감녕전| 등에 깃털을 꽂고 허리에는 방울을 차고 늘 선봉에 서다 능통전| 삼백 병사와 함께 적진에 뛰어들어 손권을 구한 용장 서성전| 강변에 가짜 성을 지어 조비의 대군을 물리치다 반장전| 관우를 사로잡고 유비를 쳐부순 호걸 정봉전| 선봉에서 적을 물리치고 계책으로써 손침을 암살하다 11 주치주연여범주환전 주치전| 손책에게 강동 평정을 건의하다 주연전| 용맹으로써 나라의 대들보가 되다 여범전| 유비를 붙잡아 두라고 은밀히 간하다 주환전| 유수 전투에서 조인을 물리치다 12 우육장락육오주전 우번전| 취중실언으로 손권에게 내쳐진 주역의 일인자 육적전| 학문에만 힘썼는데도 무장으로 잘못 쓰인 불행아 장온전| 드높은 명성으로 오히려 손권의 질투를 받아 쫓겨나다 낙통전| 수많은 정책을 올렸으나 거의 쓰지 않는 비운의 관료 육모전| 손권의 공손연 정벌을 폐지하다 오찬전| 손권의 황태자 교체에 반대하다가 옥에서 억울하게 죽다 주거전| 신의를 다해 황태자를 옹호하다가 무고로 죽다 13 육손전 대기만성하여 큰일을 이룬 오나라의 국보 14 오주오자전 손등전| 나랏일을 근심하다 요절한 손권의 태자 손려전| 재능이 있었으나 요절한 손등의 동생 손화전| 폐태자가 되어 제갈각과 함께 억울하게 죽다 손패전| 서자신분으로 태자 자리를 노리다 손분전| 법을 무시하고 사냥에 몰두하다 자멸하다 15 하전여주종리전 하제전| 신출귀몰한 용병술로 수많은 반란을 진압하다 전종전| 당대의 존경을 받은 야전의 맹장 여대전| 남방 평정에 큰 공을 세운 백저노장 조방전| 일곱 통의 편지로 조휴에게 승리하다 종리목전| 대담한 기략으로 무릉의 난을 평정하다

작가 소개

진수

자가 승조이며 파서군 안한현이 본적이다. 위, 촉, 오 삼국이 대치하던 시대인 촉나라에서 233년에 태어나 진나라에서 벼슬하다가 원강 7년(297년)에 6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일찍이 같은 성도의 저명한 역사학자인 초주에게 태학에서 학문을 익혀 <상서>, <춘추>, <사기>, <한서> 등을 읽었고 글재주가 있었다. 그 후 ‘양사지재(良史之才)’를 인정받아 산기시랑에 임명되었다.

진나라 무제 태강 원년(280년) 오나라가 멸망할 무렵 <정사 삼국지>를 완성했다. 당시 하후잠이라는 사람도 <위서>를 저술하고 있었는데 진수의 책을 보고 나서 자신의 책을 찢어버렸다는 일화가 있다.

지은 책으로는 <고국지> 50편, <석휘>, <광국론>, <진박사> 4권, <진탄사> 9권, <익부시구전> 10편, <제갈씨집> 24편, <한명신주사> 30권, <위명신주사> 40권 등이 잇다. 이상 12종의 저술은 모두 250여 권에 달하지만 그중에서 <삼국지>가 가장 영향력이 크다.

김원중 옮김

성균관대학교 중문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만 중앙연구원과 중국 문철연구소 방문학자와 대만사범대학 국문연구소 방문교수, 중국 푸단 대학 중문과 방문학자를 역임했다. 건양대 중문과 교수를 지냈고, 현재 단국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이며, 중국인문학회·한중인문학회 부회장, 대통령 직속 국가교육위원회 전문위원도 겸하고 있다. 동양의 고전을 우리 시대의 보편적 언어로 섬세히 복원하는 작업에 매진하여, 고전 한문의 응축미를 담아내면서도 아름다운 우리말의 결을 살려 원전의 품격을 잃지 않는 번역으로 정평 나 있다.
《교수신문》이 선정한 최고의 번역서인 『사기 열전』을 비롯해 개인으로서는 세계 최초로 『사기』 전체를 완역했으며, 그 외에도 『삼국유사』, 『논어』, 『맹자』, 『명심보감』, 『손자병법』, 『한비자』, 『정관정요』, 『정사 삼국지』, 『채근담』, 『당시』, 『송시』 등의 고전을 번역했다. 또한 『한마디의 인문학, 고사성어 사전』, 『한문 해석사전』(편저), 『중국 문화사』, 『중국 문학 이론의 세계』 등의 저서를 출간했고 50여 편의 논문을 학술지에 발표했다.

"김원중"의 다른 책들

독자 리뷰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