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문학의 시작을 알린 김동인의 문학과 삶
김동인은 ‘신’을 갖지 않았다. 신을 가진 사람과 안 가진 사람이 어떻게 맞설 수 있었겠는가. 이 물음에서 마침내 김동인의 문학과 삶의 방식이 선택되고 형성되어 도달되었다. 그것은 곧 스스로 ‘신’이 되는 길이다. 어떻게 하면 스스로 신이 될 수 있는가. 스스로 신이 되고자 하는 생각을 품은 것은 언제부터였던가. 그리고 누구의 도움으로 그런 생각을 품을 수 있었을가. 또한 스스로 신이 된다면 무슨 수가 날 것이며, 만일 그 일에 실패한다면 어떤 결과에 이르게 되는 것일까. 이러한 물음에 조금이라도 흥미가 있는 사람이라면 김동인의 문학과 사상에 흥미를 가질 만한 것이다.
1 집안의 귀공자 1 김대윤과 도산 안창호 2 맏형 김동원과 흥사단 3 아비로서의 맏형과 그 냉혹성 4 스스로 신이 되는 길 5 오만함의 근거
2 시로가네(白金) 교정에서 배운 것 1 동경 유학생의 여러 모습 2 동경 유학의 진정한 동기 3 동경의 고독과 시로가네에서의 깨달음 4 문학에의 눈뜸과 체험의 축적 5 <순문학>의 선택과 그 의미
3 후지시마의 문하생들 1 학업의 중단과 비일상적 세계에의 길 2 대동강의 사상 3 원체험으로서의 불놀이 4 주요한과 맞서기 5 후지시마 6 교양과 탐미
4 ≪창조≫의 세계 1 1 2ㆍ8독립선언과 김동인의 시대감각 2 심정적 진실과 실증적 사실 3 ≪창조≫ 창간호의 동인들 4 김환의 위치와 ≪창조≫의 한 측면
5 ≪창조≫의 세계 2 1 내용 우위와 비자각적 문체 2 <참인생>의 형식화 3 3·1운동과 그 소설적 형상화의 수준 4 제도적 장치로서의 <고백체>
6 ≪창조≫의 세계 3 1「불노리」 2 성소공간으로서의 상해와 독립신문 3 민족공동체의 이념과 <노래>의 세계 4 ≪창조≫의 문학사적 의미
7 창조파와 폐허파 1≪창조≫의 이력서 2 문학적 열정의 소멸 3 미결수의 체험과 자존심 4 활동사진 변사설과 작가 만세주의 5 창조 의 맞수로서의 폐허 의 등장 6 일급의 예술에서 일급의 방탕에로
8 신이 되는 길 1 살아 있는 인형과 참예술가의 좌절 2 방탕, 그 예술의 등가 형식 3 신의 인형으로서의 기생 4 신의 두번째 추락
9 ≪영대≫와「유서」 1 탈이념의 자리와 다시 신으로의 길 2 자질로서의 사상과 문체의 높이 3 개인사적 신의 자리지킴 4 객관적 인형조종술의 두 방식
10 대동강의 사상 1 허무에의 촉각과 열정의 무방향성 2 일상으로부터의 도피 3 <타인>의 등장과 우울증의 심연 4 대동강의 사상
11 가짜 신의 세계 1 새로운 지평의 타개 2 <허무>의 흐름과 역사소설로의 이행 3 이념형 역사소설과 의식형 역사소설 4 중간형 역사소설과 개성의 발현 5 백초(白貂)의 통과제의와 어른의 세계 6 가짜 신의 세계와 그 파탄
12 이광수와 김동인 1 1 이년상의 아비 춘원 2 삶의 위기 의식과 투명한 거울 3 아비의 자리와 자식의 자리 4 글과 황금의 등가 사상
13 이광수와 김동인 2 1 프로문학과의 맞섬 2 민족적 모순과 계급적 모순의 접점 3 주관성의 개입과 매개적 인물의 결여
14 이광수와 김동인 3 1 욕망의 내적 중개자 춘원 2 부의식(父意識) 해부와 「춘원연구」 3「무정」평가의 두 축 4 제도적 장치로서의 <강담>의 인식과 그 한계
15 이광수와 김동인 4 1 동우회 사상과 야담의 세계 2 대타 의식의 소멸과 유일 신의 좌절 3 역사의 신의 결여와 낯선 신에의 길 4 낯선 신을 넘어서기
16 신에 이른 길 1 해방의 세 가지 표정 2 눈 먼 신들 속에서의 희극적 배회 3 순수행위의 세계와 무지개가 된 신
보론 1 소설사적 과제로서의 <관념성>과 <동시성> 1두 개의 실험성 2 <관념성>과 <동시성>의 이율배반 3 <참예술>과 관념성으로서의 톨스토이 4 관년성과 <활사실> 5 소설적 진실의 근거로서의 욕망의 간접화 현상 6 <동시성>의 진행 양상 7 남는 문제
보론 2 김동인, 도스토예프스키, 바흐찐 1 가짜 예술가 도스토예프스키 2 곁눈질하기의 글쓰기 3 카니발과 글쓰기 4 독백과 대화 5 메타포의 발생 근거
부록 1 참고 서적 2 김동인 서지 3 연구 논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