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찾기가 주된 과제로 떠올랐기에 정치적일 수밖에 없었던 해방 공간의 문단사를 정리한 책. 특히 김동리의 문학세계에 깊은 관심을 가진 저자가 연작으로 집필 중인 <김동리와 그의 시대>의 2부이기도 하다.
우리 문학의 거목 김동리 선생의 삶과 문학을 평전의 형태로 정리한 책. 1부인 이 책에는 선생의 식민시대 활동 상황이 담겨 있으며, 2부에는 해방 공간에서 한국전쟁까지, 3부에는 수복 후에서 만년까지 김동리 선생의 족적이 담겨 있다.
문제적 시대와 개인의 재능 = 5제1장 사천읍 청년회장 김동리 상경하다 1 서정주를 제일 먼저 찾아가다 = 13 2 이태준을 만나다 = 16 3 《문장》파 비판(1) – 최재서의 비판 = 18 4 《문장》파 비판(2) – 이원조의 비판 = 22 5 역사의 방향성과 소설의 본질 = 24 6 「토끼 이야기」에서 「해방 전후」까지 = 28 7 이태준과 임화의 자기 비판 = 35 8 사천읍 청년회장 김동리 = 37 9 임정 노선과 김범보 = 42제2장 스티코프 중장의 「제5성명」과 김동리의 정치 감각 1 새하얀 양복, 새하얀 넥타이의 청년 김동리 = 46 2 청년문학가협회의 강령 = 49 3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 – 임화와 유진오 = 51 4 사천읍 청년회장 김동리 = 58 5 1945년 12월 – 첫 서울 상경에서 본 것 = 62 6 신탁통치 회오리 속의 서울 풍경 = 65 7 「신세대의 정신」의 연장선상에 서다 = 69 8 「제5성명」과 김동리의 정치 감각의 날카로움 = 74제3장 청년문학가협회의 결성 과정 1 해방의 감격과 두 좌담회 = 80 2 전국문학자대회와 문학가동맹 = 81 3 북조선예술총동맹의 성립 = 85 4 전조선문필가협회의 성립 = 87 5 범보 김정설, 맨 앞에 서다 = 90 6 민족주의 지영 문필가의 세력 범위 = 93 7 청년문학가협회와 임정 노선 = 95 8 『민주일보』와 청년문학가협회 = 98 9 청년문학가협회의 창립 = 100 10 청록파 3인과 시 낭독 – 「어서 너는 오너라」 = 103 11 김동리의 (민족혼)설 = 108 12 어째서 제3의 길은 없는가? = 111 13 「작품」설의 조연현 = 114 14 청년문학가협회의 활동 양상 = 115제4장 「두꺼비」3부작의 내력 1 사천극장의 테러 사건 = 120 2 「두꺼비」제1호의 투쟁 방식 = 121 3 운명과 생리로서의 문학관 = 126 4 「두꺼비」제2호 – 「윤회설」의 탄생 = 130 5 피 묻은 거대한 수레바퀴 밑의 두꺼비 = 133 6 주인공 종우의 역사관 = 136 7 창봉 소년과 사회주의 3인조 = 141 8 사회주의 3인조 의발(衣鉢)을 받다 = 146 9 정지용과 김동리 = 149 10 「두꺼비」3부작의 표정 = 152 11 헤겔의 시선에서 본 두꺼비와 능구렁이의 변증법 = 155 12 운명의 초극이냐 전략이냐 = 158 13 「무녀도」계와「두꺼비」계 = 163제5장 「윤회설」과 정치소설 논쟁 1 임정 노선의 김광주와 김동리 = 166 2 정치 저널리즘과 청년문학가협회 = 170 3 「윤회설」이 놓인 자리 – 「폭풍의 역사」와의 대결 = 174 4 「윤회설」의 정치소설적 성격 – 이원조의 비판 = 177 5 정치소설과 정치평론 – 김광주, 최태웅의 반론 = 180 6 「윤회설」에 대한 중도파 홍효민의 견해 = 183제6장 구경적 삶의 형식과 정치적 삶의 형식 1 「혈거부족」이 선 자리 = 186 2 「역마」의 출현 = 189 3 조연현의 「역마」론 = 197 4 조연현의 위기 의식과 그 초극의 전략 = 195 5 조연현의 김동리와의 변별성 모색과 그 비애 = 197 6 종교와 문학의 차이 – 김동리ㆍ조연현의 대결 = 200 7 김동리와 안회남 – 「역마」와 「폭풍의 역사」 = 203 8 「폭풍의 역사」에 대한 김동리의 비판 = 206 9 여순반란과 「형제」 = 209 10 한국문학가협회 탄생의 내면 풍경 = 212제7장 해방 공간의 세 가지 모순 개념과 그 극복 방식 – 김동리ㆍ조연현ㆍ김동석 1 해방 공간의 세 가지 문학 상황 – 인간ㆍ사상ㆍ생활 = 220 2 김동리의 첫걸음 – 정치적 감각과 상대주의적 좌표 = 223 3 절대주의 지향 – 정치적 감각 포기와 절대주의 좌표 설정 = 227 4 조연현의 김동리 비판 – 사상과 인간의 낙차 = 231 5 문학과 종교의 갈림 – 사상의 효용성 = 236 6 김동리의 자기 수정과 그 한계 = 240 7 「사상」으로 세운 비평관 – 조연현과 비평의 자의식 = 247 8 비평문학의 성립 – 조연현의 특출함 = 252 9 운명으로서의 비평 행위와 그 타개책 = 258 10 정신사로서의 『한국현대문학사』 = 262 11 사상의 범속화와 비평의 자의식 소멸 = 271 12 지식인 문학의 계보 = 277 13 모순 개념은 과연 극복되는가 – 임화ㆍ김동리ㆍ조연현 = 278 14 제4의 모순 개념 – 교양주의의 근원 = 280 15 생활과 상아탑 – 김동석 = 281 16 교양으로서의 문학 – 김동석이 섰던 자리 = 284 17 수사학의 두 양상 – 김동리와 김동석 논쟁 = 288 18 김동석과 조연현 = 291 19 수사학의 두 지향성 – 가지 황홀증과 자기 연민증 = 292 20 민족문학의 새 구상을 둘러싼 김동리ㆍ김동석 대담 = 297 21 대담 양식 – 논쟁의 세속화 = 301 22 사회주의 3인조와 김동리 = 307 23 김동리의 감추기와 허준의 드러내기 = 314제8장 천하 평정 5개년의 길 1 사천읍 청년회장의 야망 = 320 2 천하 평정의 갖가지 형태 = 322 3 예술가도 인간도 아닌 범주 – 「나」 김동리 = 326 4 순수문예지 《문예》창간의 필연성 = 329 5 《문예》창간사 집필 = 332 6 권위 확보의 방법론 – 「창작강의」 = 337 7 《서울신문》계와《문예》사이 = 340 8 신인 발굴의 길 – 시 부문 = 341 9 《문예》주간 조연현의 전략 = 347 10 시인 발굴의 길 – 소설 부문 = 351 11 《신천지》와 『문예》의 천하 통일 = 355제9장 중간파 포섭론의 정치적 성격 1 백철이 선 자리 = 358 2 중간파 형성 과정 = 360 3 백철의 김동리 비판 = 367 4 (사람은 생물이다)의 명제 = 370 5 (사람은 근대인이다)의 명제 = 373 6 조연현의 백철 비판 = 374 7 중간파 포섭 방식 = 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