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코와 철학자들

동반자 또는 경쟁자와 함께 읽는 푸코

엮음 김은주, 진태원 | 도승연, 설민, 심세광, 정대훈, 주재형, 최원, 허경

출판사 민음사 | 발행일 2023년 3월 10일 | ISBN 978-89-374-4461-6

패키지 양장 · 신국판 152x225mm · 456쪽 | 가격 35,000원

책소개
편집자 리뷰

광기, 감옥, 성을 철학의 주제로 만들며
이성과 주체의 의미를 심원하게 변화시킨
푸코는 철학자들과 어떻게 대결했는가?

그 누구도 건너뛸 수 없는 참조점.
현대 철학의 끝이자 새로운 시작
푸코에 대한 엄밀한 철학적 탐구
미셸 푸코, 20세기 사상가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광기의 역사』, 『말과 사물』, 『감시와 처벌』, 『성의 역사』 등의 저작으로 프랑스 안팎에서 큰 반향을 일으킨 푸코는 사후 강의록과 유작이 출간되면서 더 널리 회자되고 있다. 정신의학과 정치학, 문학에서 질병학, 노년학, 장애학, 여성학까지 거의 모든 학문 영역에서 푸코는 핵심 참조점이다. 이성, 권력, 언어, 주체, 윤리, 진리 같은 오래된 개념들은 푸코의 사유를 거치면서 전과 같은 의미를 가질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심원한 변화가 어떻게 가능했을까?
국내 푸코 논의는 정치학이나 사회학, 역사학, 문학에서 주로 이루어졌다. 『푸코와 철학자들』은 한국의 철학 연구자 9인이 푸코의 철학을 전체적으로 검토한 최초의 본격적인 연구서다. 사유가 형성된 역사적 궤적을 따라가면서 푸코가 영향을 받았거나 대결했던 철학자들을 명시화하고, 푸코가 어떤 방식으로 쟁점들에 개입하면서 자신의 철학을 형성했는지를 살펴본다. 학계의 최신 논의를 필진 저마다의 문제의식과 결합한 아홉 편의 글은 엄밀함과 정확성을 추구하는 철학적 연구가 현실을 파악해 내는 힘을 보여 준다.

“푸코는 철학의 외부자 위치를 자처하지만, 푸코의 사상은 고대나 당대의 다양한 철학자들이 준 영감, 그들과의 대화나 대결을 거쳐 형성되었다. 푸코와 철학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푸코와 철학자들을 다루는 이 책의 기획은 푸코가 다룬 의학적, 법적, 제도적 대상들을 다루는 길보다 어떤 의미에서는 더 어렵다. 푸코가 자신의 작업을 철학 분과 내에 위치시키지 않았다는 바로 그 이유 때문이자, 계승이든 대화든 대결이든 푸코의 철학자 참조는 대부분 암묵적이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독자는 자기 사상을 도구상자로 사용하기를 원했던 푸코 자신이 선대나 당대의 다른 철학자들과 한결같이 긴장 어린 관계를 유지하면서 그들을 어떻게 자기 사상에 스파크를 일으키는 부싯돌이나 연료로 활용하는지를 배울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머리말

칸트, 니체, 하이데거, 데리다, 캉길렘,
알튀세르, 들뢰즈 그리고 고대 철학까지
철학 바깥에서 푸코가 읽은 철학자들
“당신은 철학적인 질문을 하고 계십니다. 그러나 저는 철학자가 아닙니다.”
한 대담에서 푸코는 상대에게 이렇게 응수했다. 여러 자리에서 이처럼 철학의 외부자를 자처한 푸코에게 중요한 것은 특정한 지적 지형에서 부상한 담론적 사건으로서의 철학이다. 고전적 텍스트보다 방대한 문서고를, 유명 사상가보다 무명의 사람들을 들여다본 푸코에게 철학자들은 그러한 사건들의 구현체로 의미가 있다. 푸코의 비판적 접근은 근대라는 특정 시기를 겨냥하는데, ‘인간학적 잠’에 빠져든 칸트적 근대와 철학으로부터 영성을 결정적으로 분리시킨 데카르트적 근대로 크게 나뉜다. 전자의 귀결이 현상학을 비롯한 주체 철학이고, 후자의 귀결이 논리실증주의 같은 인식론화된 철학일 때 양자를 비판한 푸코의 고유한 문제의식이 생생해지며 그 모든 사상적 영향력의 정체가 드러나게 된다.
『푸코와 철학자들』은 푸코가 계승하거나 맞선 철학자들을 세 부류로 나누어 철학사적 연대기와 푸코 사상의 전개에 따라 배치한다. 1부에서는 근대의 에피스테메에 속하면서 푸코의 전 작업에 걸쳐 명시적으로나 암묵적으로 길잡이가 된 칸트(허경), 니체(도승연, 정대훈), 하이데거(설민)를 다룬다. 2부에서는 푸코가 동시대에 직간접적으로 비판적 대화를 주고받은 데리다(김은주), 캉길렘(주재형), 알튀세르(진태원), 들뢰즈(최원), 그리고 이 대결의 장소가 되었던 데카르트와 마르크스를 탐구한다. 3부에서는 푸코 후기를 특징짓는 대안적인 주체화 양식의 참조처인 고대 그리스·로마의 철학자들(심세광)을 살펴본다.
현대 프랑스 철학에 대한 철저한 연구를 이어가고 있는 김은주·진태원 교수가 엮은 아홉 편의 연구는 푸코의 현재성을 확인하려는 독자에게 정확하게 응답한다. ‘철학과 비철학’을 오가는 푸코의 행보는 니체·하이데거와의 근원적 관계로부터 해명된다. ‘인간이 사라진 시대에 언어작용이 도래한다’는 푸코의 전망은 칸트가 개시한 인간학에서 인공지능의 번영까지 ‘인간의 죽음’과 언어의 관계를 설명한다. 과학 앞에 선 철학의 위상을 파고들어 ‘생명주의 철학’이 도출되고, 치열한 정치적 사고 속에서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심오한 대안’과 ‘헤테로토피아의 위상학’이 제시된다. ‘통치’ 그리고 ‘돌봄’을 도입해 윤리와 정치를 근접시킨 시도는 후기 푸코의 사유가 이전과의 단절이 아니라 연속성을 이루고 있음을 드러낸다. 독자는 이 한 권에서 35년여에 걸친 한국의 푸코 수용이 거둔 결실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머리말
서론 | 김은주 푸코와 철학

1부 푸코와 근대 철학자들
1장 푸코와 칸트 | 허경 | 칸트적 ‘근대’에서 니체적 ‘현대’로—에피스테메의 변형을 중심으로
2장 푸코와 니체 | 도승연 | 힘에의 의지에서 지식-권력으로—푸코의 니체 활용
3장 니체와 푸코 | 정대훈 | 지식의 의지 개념의 조형—푸코가 니체에게서 계승하지 않은 것
4장 푸코와 하이데거 | 설민 | 역사인가, 철학인가?—푸코와 하이데거의 역사적 존재론과 철학적 자기 정당화의 문제

2부 푸코와 동시대 프랑스 철학자들
5장 푸코와 데리다 | 김은주 | 푸코-데리다 광기 논쟁을 통해 본 데카르트라는 사건
6장 푸코와 캉길렘 | 주재형 | 과학, 생명, 주체
7장 푸코와 알튀세르 | 진태원 | 마르크스와 알튀세르 사이의 푸코
8장 푸코와 들뢰즈 | 최원 | 저항이 가능한 장소—상이한 바깥의 위상학들

3부 푸코의 윤리 계보학과 고대 철학자들
9장 푸코와 고대 철학 | 심세광 | 자기 삶을 스캔들로 만들기—진실의 용기와 자유의 실천

필자 소개
찾아보기

작가 소개

김은주 엮음

연세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와 같은 대학 철학과에서 각각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은 후 프랑스 리옹고등사범학교(École Normale Supérieure de Lyon)에서 “La causalité imaginaire chez Spinoza”(스피노자 철학에서 상상적 인과성)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고, 한양대학교 학술연구교수와 국립부경대 조교수를 거쳤다. 근대 철학 전공자로서 스피노자, 데카르트, 홉스 그리고 미셸 푸코, 자크 데리다 등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썼다. 저서로 『푸코와 철학자들』(공저, 민음사), 『스피노자의 귀환』(공저, 민음사), 『서양근대교육철학』(공저, 서울대출판부), La raison au travail. Traversées du spinozisme(공저, ENS éditions, 근간), 『생각하는 나의 발견, 방법서설』(미래엔)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스피노자의 『지성교정론』(길), 함께 옮긴 책으로 알렉상드르 마트롱의 『스피노자 철학에서 개인과 공동체』(그린비)와 피에르프랑수아 모로의 『스피노자 매뉴얼』(에디토리얼) 등이 있다.

진태원 엮음

성공회대 민주자료관 연구교수. 《황해문화》와 《기억과 전망》 편집위원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 『을의 민주주의』,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 『스피노자 윤리학 수업』이 있으며, 『알튀세르 효과』, 『스피노자의 귀환』, 『포퓰리즘과 민주주의』 등을 엮었다.

도승연

광운대 인제니움 교수. 이화여대 철학과에서 철학 공부를 시작해 뉴욕주립대학에서 푸코의 윤리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인터넷윤리학회 회장으로 인문교양교육 전반에 대한 기획과 평가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푸코와 68혁명: 사건이 아닌 경험, 신화가 아닌 비판으로서의 혁명」, 「푸코의 ‘문제화’ 방식으로 스마트시티를 사유하기」, 「철학의 역할, 진실의 모습: 푸코의 자기-배려 논의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설민

성균관대 철학과 교수. 서울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독일 부퍼탈대학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공회대 교양학과, 부산대 윤리교육과에서 현대 유럽철학을 가르치며. 하이데거를 중심으로 현상학 연구를 주로 해 왔고 윤리학에도 관심이 많다. 주요 논문으로 “Revising Resoluteness”, “‘How Can We Live in the Common World?’”, “Ethical Lessons from Heidegger’s Phenomenological Reading of Kant’s Practical Philosophy” 등이 있고, 저서로 『하이데거와 인간실존의 본래성』, 『철학, 이해하다』, 『생명의료윤리』(공저), 역서로 하이데거의 『근본개념들』(공역)이 있다.

심세광

성균관대 불문과 강사. 파리10대학에서 미셸 푸코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숭실대와 대안연구공동체에서 가르치고 있다. 푸코의 강의록 『정신의학의 권력』, 『안전, 영토, 인구』,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주체의 해석학』, 『비판이란 무엇인가? 자기수양』, 『담론과 진실』, 『자기해석학의 기원』을 번역했고, 푸코에 대한 연구서 『새로운 세계합리성』을 번역했으며 『어떻게 이런 식으로 통치당하지 않을 것인가?』 등을 저술했다.

정대훈

부산대 철학과 교수. 서울대 철학과 석사과정, 프랑크푸르트대학 철학과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서울대, 명지대, 단국대, 숭실대, 한국공학대에서 강의를 했다. 주요 논문으로 “Geschwister-Welt, Geschwister-Staat, “Spiel mit der Maske: Hegel und Schlegel zur Komödie”, 「정신의 도야(Bildung): 예나 시기 헤겔 철학에서 근대적인 것으로서의 도야 개념의 형성과정 및 그 의의에 대한 고찰」 「선택의지(Willkür)의 자유란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가?: 칸트의 『윤리형이상학』의 한 문단(MS VI 226∼7)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시도」, 「표상에서 개념으로, 개념에서 표상으로: 헤겔의 학문 체계의 형성에서 표상의 위상과 기능에 대하여」 등이 있으며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공저)을 썼다.

주재형

단국대 철학과 교수. 프랑스 파리 고등사범학교에서 앙리 베르그손의 생명 철학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근현대 프랑스 철학사 및 생명 형이상학, 철학적 우주론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베르그손의 순수 기억의 존재 양태에 대하여」, 「들뢰즈와 형이상학의 정초」, 「러브크래프트와 철학: 반우주로서 생명」 등이 있다. 프레데릭 보름스의 『현대 프랑스 철학』과 『가치는 어디로 가는가』(공역)를 옮겼으며, 저서로 「철학, 혁명을 말하다」(공저), 「서양근대교육철학」(공저)가 있다.

최원

단국대 철학과 강사. 뉴욕주립대학 스토니브룩 캠퍼스 철학과를 졸업하고 뉴욕의 뉴스쿨대학에서 철학 석사학위를, 시카고의 로욜라대학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진보평론》과 《문화과학》 편집위원으로 활동했으며 프랑스철학, 현대정치철학, 정신분석학을 중심으로 연구와 번역 활동을 하고 있다. 『라캉 또는 알튀세르』를 썼으며 『스피노자의 귀환』, 『세월호 이후의 사회과학』, 『알튀세르 효과』, 『무엇이 정의인가?』 등을 함께 썼고, 에티엔 발리바르의 『대중들의 공포: 맑스 전과 후의 정치와 철학』(공역) 등을 번역했다.

허경

철학학교 혜윰 교장. 고려대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프랑스 스트라스부르대학 철학과의 필립 라쿠라바르트 아래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응용문화연구소와 철학연구소의 연구교수를 지냈다. 『미셸 푸코의 ‘광기의 역사’ 읽기』, 『미셸 푸코의 ‘지식의 고고학’ 읽기』 ,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 『“나는 맞고 너는 틀리다”』, 『미술은 철학의 눈이다』(공저) 등을 썼고, 푸코의 『문학의 고고학』, 『담론의 질서』, 들뢰즈의 『푸코』 등을 옮겼다.

독자 리뷰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