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진 정치와 안정된 경제의 실현으로 모두가 살 만한 세상을 꿈꾸다

맹자

원제 孟子

동양고전연구회

출판사 민음사 | 발행일 2016년 8월 26일 | ISBN 978-89-374-3332-0

패키지 양장 · 변형판 147x217 · 524쪽 | 가격 27,000원

시리즈 사서 | 분야 논픽션, 동양고전

책소개

12인의 학자들이 25년에 걸쳐 이룩한
정역定譯 사서

《교수신문》 선정 ‘최고의 고전 번역서’로 꼽혔으며 많은 독자들이 그 가치를 인정했던 동양고전연구회의 『논어』(개정판)를 비롯해 『맹자』, 『대학』, 『중용』의 사서가 민음사에서 완역 출간되었다. 12인의 학자들이 25년이라는 시간 동안 고금의 주석서를 검토하고 정확한 현대어로 옮긴 역작이다. 기원전 6세기경,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이 전 세계에서 대두한 인문 정신의 여명기에 지중해 연안의 아테네에서 소크라테스가, 히말라야의 산기슭에서 고타마 싯다르타가, 그리고 태산과 황하의 부근에서 공자가 등장해 위대한 철학적 전통을 열었다. 이후 유학의 경전으로 성립한 사서는 동아시아 정치·사회·문화의 근간을 이루었으며 시대가 변화할 때마다 인간의 문제에 새롭게 답하며 세계인의 애독서로 자리 잡았다. 역사가 흐를수록 번역과 해석 또한 방대해진 가운데, 500년의 한국 번역사에서 축적된 연구를 종합한 성과이자 고전 읽기를 시작하는 누구나 믿고 손에 잡을 만한 바른 번역(定譯)으로서 동양고전연구회의 사서를 선보인다.

편집자 리뷰

500년 사서 번역사에서 기점이 될 번역
원로에서 신진까지 세대를 아우르는 학자진의 참여
동양 철학의 각 분야를 망라하는 풍부한 주석

고려 말 성리학과 함께 전래된 사서는 440여 년 전 언해본 출간을 시작으로 우리말 번역이 이루어졌다. 오늘날에 이르러 ‘고전 르네상스’는 만개하여 『논어』의 경우 번역서로만 최소 100여 종에서 해설서까지 포함하면 700여 종에 이르게 되었다. 서양 문화의 급격한 유입이 제기한 정체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유교라는 전통을 일신하여 과거로부터 다시 배우고자 애쓴 수많은 연구자와 저술가의 노력이었다.
1992년 이강수 전 연세대 철학과 교수를 필두로 결성된 동양고전연구회는 한국 철학·선진 유가 철학·송명 유학·청 대 유학·도가 철학 전공자 12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공과 세대가 다른 연구자들은 세계화 시대의 격랑 속에서 인문 세계를 이루어 나가는 데 동양 고전의 현대화를 통해 기여한다는 연구회의 취지를 공유했다. 첫 번째 번역 사업으로 우리에게 가장 깊은 영향을 미친 사서를 선정한 이래 2016년 여름의 완역 출간까지 25여 년이 걸린 데는 동양 고전 번역에 따르는 고유의 문제가 있었다.
저자가 분명하지 않으며 판본에 따른 의미 변경의 폭이 큰 고전의 번역은 안으로는 생소한 고어의 쓰임을 명확히 밝히며 밖으로는 당대의 맥락에 비추어 문면의 의미를 고찰하는 주석(註釋) 작업이다. 고전이 성립된 지 2500년을 헤아리는 시간 동안 축적된 주석서의 양은 그야말로 방대하다. 『논어』만 해도 한 대(漢代)에 성립한 고주(古註)와 주희의 신주(新註)라는 두 개의 큰 줄기를 바탕으로 고증학과 문헌학의 성과를 반영한 현대 중국학자들의 주석들이 있으며, 한국에는 정밀한 토(吐)와 석(釋)을 가한 율곡 이이의 『논어율곡언해(論語栗谷諺解)』, 고주와 신주을 종합하고자 한 다산 정약용의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가 있고, 대만과 일본의 유수 학자들의 저서들 또한 다채롭다. 이처럼 방대한 주석을 종합함과 더불어 경전의 원의에 다가가는 것이 동양고전연구회 번역 사업의 원칙이었다.
번역의 시작은 연구자들이 각 전공 분야의 저서를 분담해 조사하고 정기 모임에서 발표하는 것이었는데, 주석들을 검토하고 솎아내는 과정에만 권당 최소 3년에서 6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번역문을 다듬는 단계에서는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구절의 뜻을 확정하기 위해 치열한 토론을 통한 음미와 객관화가 이루어졌다. 이로써 한문 번역의 과도기에 남아 있던 고어와 상투어 그리고 오역을 최소화할 수 있었으며, 긴 토의를 거쳐 여러 사람이 납득할 수 있는 문맥을 잡은 까닭에 하나의 사조나 주관적인 입장에 좌우되지 않을 수 있었다.
더하여 원문과 주석, 번역문과 해설을 모두 참고해야 하는 고전의 특성상 본문 편집에도 주의를 기울였다. 원문과 주석을 왼쪽 면에, 그리고 번역문과 해설을 오른쪽 면에 나란히 배치해 어느 눈높이에서 무엇을 위주로 읽든 불편함이 없으며, 번역문을 한 호흡에 읽어 나가며 전체적인 맥을 짚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분량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높은 수준의 이론이 전개되는 『대학』과 『중용』은 번역 전문을 먼저 실었다. 디자인의 측면에서는 고전의 현대적 해석에 능하며 민음사 『사기』의 디자인으로도 유명한 안지미 디자이너의 아름다운 장정으로 책의 완성도를 높였다. 교양 독자들의 눈높이에서 쉽게 읽히면서 전문성 또한 놓치지 않은 민음사의 사서는 시작하는 사람에게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선택이, 다시 읽는 사람에게는 지난 독서를 반추하는 계기가 되어 줄 것이다.

 

동양 문명의 정수
인문 정신의 원천, 사서

『논어』는 공자의 제자들이 스승에게 직접 듣거나 기록해서 지니고 있던 말들을 공자 사후에 논찬(論纂)하여 이루어진 일종의 대화집이다. 기원전 4세기경 공자를 계승하여 공자 사상을 확장하고 심화한 맹자의 주관하에 이루어진 저작이 『맹자』이며, 송 대(宋代)에 와서 『예기(禮記)』로부터 『대학』과 『중용』가 분리되어 『논어』, 『맹자』와 함께 사서로 표장(表章)되었다. 유교의 경전이자 동양 사상의 근본 문헌인 사서는 서양 학문에 빗대어 말하자면 공자의 사상을 중심으로 정치 철학, 사회 철학, 우주론, 존재론, 형이상학을 아우르는 거대한 학문적 체계이자, 우리에게 익숙한 말과 삶의 원경을 이루는 본바탕이며, 비근한 데에서 고원한 데에 이르기까지, 마음을 다스리는 법에서 천하를 다스리는 법까지 논하는 인간의 지침서이다. 주희는 말한다. “사서를 읽을 때는 모든 것을 추구하지 말고, 자신에게 가장 절실한 구체적인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맹자』, 어진 정치와 안정된 경제의 실현으로
모두가 살 만한 세상을 꿈꾸다

『맹자』는 흔히 아성(亞聖), 즉 공자에 버금가는 성인으로 불리는 맹자의 사상을 담은 책이다. 맹자는 공자를 계승해 스스로는 이상적인 도덕 인격을 완성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인민들이 살 만한 세상을 만드는 ‘수기안인(修己安人)’을 목표로 했다. 이를 위해 맹자는 ‘왕도정치’를 제시했고 근거로서 ‘성선설’을 말했다. 맹자는 정치의 핵심이 민생을 개선하고 교화를 시행하는 데 있다고 생각했다. 무엇보다 민생 문제가 먼저 해결되어야 도덕 교화가 가능하고 이상적인 인격의 완성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렇듯 통치자들이 ‘민본’ 의식에 근거해 민생 문제를 해결하는 왕도정치의 바탕에 있는 것이 ‘다른 사람의 고통을 차마 견디지 못하는 마음(不忍人之心)’이다. 이러한 덕성은 후천적으로 교육된 것이 아니라 본래부터 우리에게 주어져 있으니 잠재되어 있는 본성을 오롯이 되찾으면 될 뿐이다.
공자의 뜻을 확장, 심화시킨 『맹자』는 맹자와 왕 혹은 제자 사이에 오간 대화로 정리되어 있는데 논리가 정연하고 비유가 풍부하며 대화의 맥락이나 흐름이 있어 사서의 다른 책들에 비해 잘 읽힌다. 오늘날에도 일상에서 많이 쓰이는 ‘오십보백보’, ‘농단’, ‘연목구어’, ‘자포자기’ 등의 성어들이 유래한 책이기도 하다. 제나라 선왕과의 대화에서 “지금은 백성의 생업을 마련해 주지만 위로는 부모를 섬기기에 부족하고 아래로는 처자는 기르기에 부족하며, 풍년에도 늘 고생스럽고 흉년에는 굶어 죽는 것을 면하지 못합니다. 이것은 다만 죽음을 구제하기에도 부족할까 두려운데 어느 겨를에 예를 닦고 의를 행하겠습니까?”(49쪽)라며 민생 구제를 촉구하고, 또한 왕의 면전에 대놓고 “임금에게 큰 허물이 있으면 간언하고, 여러 번 간언해도 듣지 않으면 임금을 바꿉니다.”(369쪽)라고 말하는 맹자의 일갈은 2000여 년이 지난 오늘의 사회 상황을 조명하며 통쾌함과 씁쓸함을 함께 남긴다.

 

맹자께서 제 선왕에게 말씀하셨다. “임금의 신하 중에 처자식을 자기 벗에게 맡기고 초나라에 가서 놀던 자가 있었는데, 돌아와 보니 그 처자식이 추위에 떨고 굶주린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왕이 말했다. “관계를 끊습니다.”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법관이 자기 부하를 다스리지 못하면 어떻게 합니까?” 왕이 말했다. “그만두게 합니다.”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라 안이 다스려지지 않으면 어떻게 합니까?” 왕이 좌우를 돌아보며 화제를 바꾸었다. ― 『맹자』「양혜왕 하」

인(仁)이란 활을 쏘는 것과 같다. 활 쏘는 사람은 자신을 바로 한 다음에 쏜다. 쏘아서 적중하지 않으면 자기를 이긴 사람을 원망하지 않고 돌이켜 자신에게서 원인을 찾을 뿐이다. ― 『맹자』「공손추 상」

사람은 반드시 스스로 자신을 업신여긴 후에야 남들이 그를 업신여기고, 집안은 반드시 스스로 훼손한 후에야 남들이 그 집안을 훼손하며, 나라는 반드시 스스로 토벌당할 지경에 이른 후에야 남들이 토벌하는 것이다. ― 『맹자』「이루 상」

우리는 우환 가운데 살고 안락 가운데 죽는다. ― 『맹자』「고자 하」

어떤 일을 하면서도 왜 그 일을 해야 하는지 알지 못하고, 숙달되어 있으면서도 그 까닭을 깊이 알지 못하며, 일생 동안 그것을 따르면서도 그 도리를 모르는 자들이 보통 사람들이다. ― 『맹자』「진심 상」

목차

서문 5
해제 11

1 양혜왕 상(梁惠王上) 25
2 양혜왕 하(梁惠王下) 53
3 공손추 상(公孫丑上) 87
4 공손추 하(公孫丑下) 127
5 등문공 상(滕文公上) 159
6 등문공 하(滕文公下) 197
7 이루 상(離婁上) 231
8 이루 하(離婁下) 271
9 만장 상(萬章上) 305
10 만장 하(萬章下) 339
11 고자 상(告子上) 373
12 고자 하(告子下) 401
13 진심 상(盡心上) 431
14 진심 하(盡心下) 467

참고 문헌 503
찾아보기 505

작가 소개

동양고전연구회

원전에 충실한 주석과 현대적 해석을 통한 동양 고전 출판을 목표로 1992년 6월 출범했다. 한국 철학・선진 유가 철학・송명 유학・청 대 유학・도가 철학을 전공한 연구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난 25년 동안 회합하며 고전을 번역하고 주해해 왔다. 우리 전통의 발판 위에 미래 문화를 창달하기 위해 계속해서 번역 작업에 힘쓰고자 한다. 동양고전연구회의 첫 사업으로 간행한 『논어』는 《교수신문》 선정 최고의 번역본으로 꼽혔다.

독자 리뷰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