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민음 한국사 조선의 마지막 19세기 인민의 탄생

19세기는 정조의 죽음으로 시작한다. 정조의 죽음으로 강력한 왕권을 누리던 조선왕조는 세도정치로 그 힘을 넘겨주게되고 조선왕조는 그렇게 몰락해 간다. 갑자기 19세기들어서 세도정치가 나타나게 되었을까? 라는 의문에 이 책은 경제의 발달에 그 의미를 두고 있다. 그 전에도 왕이 어리거나 힘이 없을때 세도가문이 있었다. 하지만 19세기처럼 한세기내내 지속되지는 않았다. 19세기가 다른때와 다른 이유는 바로 거상들의 발달 이라고 한다. 즉 독재정권하에 재벌기업들이 부의축적을 이루어 낼 수있었던 것처럼 거상들이 발달하면서 왕조하의 독재정권과 같은 세도정치가 탄생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라고 설명하고 있다. 정치와 경제를 함께 풀어낸 것이 이채롭다. 19세기 후반에 들어서 인 민 이 탄생하였다. 인은 통치자 즉 양반을 의미했었고 민은 피통치자 백성을 의미한다고 했다. 우리나라도 헌법에 인민이라는 말을 쓰려다 북한에서 많이 쓴다고 해서 국민으로 바꿨다고 한다. 어쨌든 일반 국민들의 의식성장이 세계의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뒤쳐지지 않는다. 독립신문과 독립협회를 만들고 만민공동회를 개최하는 모습을 볼때 우리도 세계의 보편적인 흐름에 맞춰 흘러가고 있었다. 만약 고종황제가 만인의 뜻에 따라 입헌군주제나 민주제로 방향을 잡았다면 역사는 어떻게 되었을까 그래도 외세의 침입에 험난한 시기를 보내기는 했겠지만 좀 더 달라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