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자신에게 진실하게 살아간 그녀

수치심이라는 이런 무시무시한 대가를 치르고 얻은 것들을 돌이켜보니, 무언가 끔찍하고 혐오스러운 것이 있었다. 자신의 발가벗겨진 영혼 앞에 선 수치심이 그녀의 목을 졸랐고, 그것은 곧 그에게도 전해졌다. 1권, p326

사랑 없는 결혼을 깨버린 불륜의 파멸적인 말로와 사랑에 기반한 결혼의 행복한 결말. 책의 마지막 장을 덮으며 두 이야기의 끝을 보았을 때, 왜 ‘안나 카레니나’가 책의 제목이 되었는지 고민에 빠질 수밖에 없었다. 안나가 자살로 생을 스스로 마감한 7부로 완결이 나지 않았고, 그 이후의 이야기까지 – 정확히는 레빈의 성장 스토리라 할 수 있는 8부가 되어서야 책이 끝났기 때문이다. 톨스토이는 이 책에서 레빈에게 자신을 투영했다고 한다. 그랬던 만큼 레빈의 말과 행동에서 그 시대에 살았던 톨스토이의 시대적인 생각들을 심심찮게 엿볼 수 있다. 그런데 왜 ‘안나 카레니나’일까? 왜 이 책의 제목은 ‘콘스탄친 레빈’이 아니었을까.

결혼하기에 지위와 재력이 적당한 남자 알렉세이를 만나, 슬하에 아들 하나를 키우며 겉보기엔 안정적인 결혼 생활을 이어가는 안나 카레니나. 고위 공무원의 품위 있는 아내, 사교계의 퀸이라는 명성을 가지고 있는 그녀에게 불현듯 찾아온 브론스키와 그에 대한 사랑은 결코 달갑지만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자신의 밑바닥까지 경험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 사랑이라고 했던가. 그녀는 그것이 아주 잘못된 일임을 알면서도, 그동안 쌓아 올린 그녀의 지위를 단 한순간에 망가뜨릴 것이란 걸 알았음에도 결국은 모든 것을 뒤로한 채 브론스키에게로 향하고 만다. 여성의 교육과 사회적인 진출에 따가운 시선을 보냈던 그 시대에서 대담하게 불륜을 저지르는 안나의 파격적인 행보에 그녀는 사회에서 매장당하기에 이른다.

하지만 난 당신이 날 있는 그대로 보게 될 거라고 생각하니 기뻐요. 무엇보다 난 사람들이 내가 무언가를 입증하고 싶어한다고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난 아무것도 입증하고 싶지 않아요. 난 그저 살고 싶을 뿐이에요. 나 자신 외에는 그 누구에게도 불행을 끼치고 싶지 않아요. 나에게는 그럴 권리가 있어요. 3권, p143

하지만 안나 카레니나는 안나 카레니나라는 자아를 가진 인간으로서 살아가길 원했다. 비록 그 길이 순탄하지 않았고 안나의 바람대로 누구에게도 불행을 끼치지 않을 수 없었지만, 그래도 그녀는 자신으로써 살아가려 노력했다. 심장을 가진 여자. 작중 오블론스키가 그녀를 두고 칭했던 문장이 안나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가장 자신에게 진실하게 살아간 인간.

나 또한 남편과 아이를 버리고 자신만의 사랑을 쟁취한 그녀가 마냥 마음에 들지는 않았다. 이혼을 용납하지 않는 그녀의 행동을 이해할 수도 없었고, 결국 변해버린 브론스키의 마음에 파멸을 향해 달려가던 그녀의 종말이 어쩌면 당연하다고도 생각했다. 하지만 무턱대고 안나에게 욕은커녕 되려 안타까운 마음이 일었다. 먼저 사랑으로 맺어지고 부부의 연으로 이어가는 것이 일반적인 현재를 살아가는 내가, 사랑 없는 결혼생활을 이어가는 그녀의 고통을 헤아릴 수조차 없으니까. 그녀에게 돌을 던지고자 한다면, 여성에 대한 억압이 일반적인 그 시대에서 집안에서 맺어주는 짝에게 자연스럽게 사랑의 싹을 틔울 수 있었는지부터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이 방은 당신에게 그다지 좋을 것 같지 않아요.” 그녀는 뚫어지게 바라보는 그의 시선을 피해 방 안을 둘러보며 말했다. “호텔 주인에게 말해서 다른 방을 달라고 해야겠어요.” 그녀는 남편에게 말했다. “이왕이면 우리 방과 더 가까운 곳에요.” 2권, p539

난 여전히 마부 이반에게 화를 내겠지. 여전히 논쟁을 벌이고, 여전히 내 생각을 부적절하게 표현할 거야. 나의 지성소와 다른 사람들 사이에는. 심지어 아내와의 사이에도 여전히 벽이 존재할 거야. 난 여전히 나의 두려움 때문에 아내를 비난하고 그것을 후회하겠지. 나의 이성으로는 내가 왜 기도를 하는지 깨닫지 못할 테고, 그러면서도 난 여전히 기도를 할 거야. 하지만 나에게 일어날 수 있는 그 모든 일에 상관없이, 이제 나의 삶은, 나의 모든 삶은, 삶의 매 순간은 이전처럼 무의미하지 않을 뿐 아니라 선의 명백한 의미를 지니고 있어. 나에게는 그것을 삶의 매 순간 속에 불어넣을 힘이 있어! 3권, p559

반면 레빈스키와 키티는 그렇지 않다. 한때 레빈의 청혼을 거절하고 브론스키와의 결혼을 당연시 생각하며 두 남자 사이에 대해 고민했지만 (이 부분에 대해서는 내 입장에선 너무나도 당연한 처사다) 끝끝내 그들은 둘만의 사랑을 확인하며 결혼했고, 여느 초보 부부와 같은 실수도 하고 다툼도 하며 결혼 생활을 이어나갔다. 키티가 몸의 회복을 위해 떠난 여행에서 얻은 경험으로 한층 더 성숙해져서 레빈을 다시 만났고, 청혼을 거절당해 키티를 잊으려고 온갖 노력을 다했지만 결국 사랑에 백기를 든 레빈은 그녀와의 결혼 생활을 통해 그의 모든 면에서 발전해갔다. 그들은 서로가 서로를 성장하게 만들어주는 건강한 관계였다.

행복한 가정은 모두 모습이 비슷하고, 불행한 가정은 모두 제각각의 불행을 안고 있다. 1권 p

가정생활에서 무언가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부부간의 완벽한 불화나 애정 어린 화합이 필요하다. 그러나 부부 관계가 불명확하거나 이것도 저것도 아닐 경우에는, 아무것도 실행할 수 없게 된다. 3권, p396

결국 소설은 위의 문장들로 귀결된다.

안나의 죽음인 7부로 소설이 끝났어도 ‘안나 카레니나’라는 소설은 소설 그 자체로써 완벽했을 것이다. 당시 완결에 대해 편집자와 톨스토이가 7부 완결 여부에 대해서 엄청나게 싸웠고 결국 8부로 완성되는 이 소설은 톨스토이가 자비로 직접 출간했다고 한다. 이를 미루어 볼 때, 톨스토이는 레빈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전하고 이상적인 결혼 생활을 보여주면서도 ‘안나 카레니나’라는 인물을 통해 사람들이 자신의 삶에 대해 조금 더 집중해 주길 바란 건 아닐까? 나에게 더 집중하고 진실할 수 있다면, 나아가 작은 사회인 가정은 물론이요 내 스스로 성찰하고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 마련이니까.

+) 개인적으로 굉장히 감탄했던 문장.

봄은 오랫동안 스스로를 열어 보이지 않았다. 1권, p332

어떻게 이런 문장이 사람의 손끝에서 나올 수 있을까.

++) 이번엔 안나와 레빈의 상황을 서로 비교하면서 읽었는데, 다음에 재독할 땐 다른 부분에 집중해서 읽어도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