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풍이 잦아들 때…

폭풍의 언덕’이란 제목을 접할 때마다 아주 오랜 세월 영혼에 새겨졌던 어떤 감동이 불려 내지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아마 이러한 인상은 어린 시절에 보았던 영상이 주었던 영향이 작용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것은 나무의 뿌리를 뽑아 낼 듯 거세게 휘몰아치는 바람과 고딕풍의 외딴 저택이 있는 흑백의 음울한 어떤 시원의 풍경이 일으키는 스산함이다.

이 기억에는 가까이 다가가기 어렵게 만드는 수심으로 일그러진 냉정한 얼굴의 남자가 등장한다. 그의 이름은 ‘히스클리프’였을 것이다. 집요하게 어린 사랑의 광기, 거세게 몰아치는 증오와 복수의 정념으로 타오르는 사람. 그래, 이 작품을 빈번히 읽게 되었던 이유는 히스클리프라는 인물에 알지 못하는 사이에 매료되어있었음을 시인해야겠다. 그의 영혼을 지배했던 캐서린에 대한 사랑의 집념?, 천대와 모욕에 대한 복수의 방법들이 보여주는 무한한 적의?, 혹은 죽은 연인의 환상을 애처로이 부르며 죽어가는 그의 모습에 감성이 장악되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인간이 보일 수 있는 광기의 모든 것에 대해서.

그런데 이 소설을 새롭게 읽게 하는 이유를 발견하게 된다. 이 사회에 폭풍처럼 거세게 불고 있는 여성주의의 시선인데, ‘언쇼’와 ‘린튼’ 두 집안의 3대에 걸친 광대한 이야기를 그네들의 보모이자 가정부였던 ‘넬리(엘렌) 딘’이라는 여성이 구술함으로써 객관적 화자의 지위를 갖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남성이 권위를 독점하고 있는 가부장제에 저항하기 위해 고아이며 하인과 같은 존재인 히스클리프와 부농인 대지주의 딸이지만 상속권이 없는 캐서린이 공조하여 아버지의 죽음 이후 재산을 차지한 오빠 힌들리의 억압에 대항하는 장면들이다. 가부장제의 바깥에 있는 히스클리프가 캐서린의 해방자로서, 자유의 수호신으로서의 역할을 지니게 하는 것은 ‘에밀리 브론테’의 시대에 대한 도전의 야망을 읽게 한다. 양성(兩性)연대의 전략을 도입함으로써.

총 34장에 이르는 결코 적지 않은 분량과 인물의 관계가 복잡하게 뒤얽힌 작품임에도 거침없이 읽어 내려갈 수 있는 것은 아주 기막힌 암시와 은유의 장치들을 노골적으로 해독케 하는 작가의 은밀함을 가장한 의도이며, 또한 뻔한 복수의 스토리텔링이 던지는 통속적 재미와 자신의 본성을 배반함으로써 야기되는 비극적 갈등에 속수무책으로 허우적거리는 연인들의 심리 등 인간의 무한한 기만적 본성들이 저마다의 진지한 의미를 지니고 독자를 압도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를테면 소설의 도입부에 등장하는 화자의 보조자 격인 ‘록우드’가 세입자로서 주인인 히스클리프‘를 방문했다가 뜻하지 않게  ‘워더링 하이츠’에서 자야하는 장면이다. 안내된 방에서 ‘캐서린 언쇼’, ‘캐서린 히스클리프’, ‘캐서린 린튼’ 이라는 구분할 수 없는 낙서된 이름을 발견하는 것인데 이 이름들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 자체가 이미 소설 전체의 구조와 의미일 수 있다는 점이다.

‘캐서린 언쇼’는 히스클리프와 성장기를 함께 한 영혼의 짝이지만, 자신의 집안인 농장기반의 야성적인 ‘언쇼’ 집안과 대비되는 세련미와 우아한 문화를 가진 ‘린튼’집안에 대한 동경은 그녀의 당대 여성들이 지녔던 관습적인 속물성을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에드거 린튼’과의 결혼을 선택한다. “히스클리프는 나 자신 이상으로 나야!”라고 선언하지만 무일푼의 가난뱅이 히스클리프는 결혼 대상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인데, 소설의 비극적 여정, 히스클리프의 분노와 증오, 복수의 행보로 가득한 소설은 이 지점에서 시작되고 맺는다고 할 수 있다. 그녀는 ‘캐서린 린튼’이 된다.

치안판사인 ‘에드거 린튼’은 성실한 남편으로서 아내에 대한 사랑과 배려를 아끼지 않지만, 전통적 가족제도에 얽매여 사회적 현실 속의 여성으로서의 캐서린은 내면의 목소리, 주위의 시선과 갈등하게 된다. 천국같이 아름답고 우아한 응접실의 삶은 야성적 자연으로 채워진 여자에게 감옥이자 지옥일 뿐이다. 히스클리프는 그녀의 정신이며 육체이다. 그를 향한 사랑의 열정은 결혼이라는 속박에서 첨예하게 부딪히며 그 불만족은 그녀를 육체의 지옥 속에서 자연으로 돌아가게 한다.

“창밖에 서 있는 전나무를 잡아 흔들던 그 바람소리, 그 바람을 쐬게 해줘. 바로 저 벌판으로 불어오니까, 그 바람을 한 번만 들이마시게 해줘!” (P 232)

캐서린은 자기 생명의 본질, 자연이라는 무한 세계로 해방되며, 또 다른 캐서린을 낳는다. 캐서린 언쇼는 캐서린 린튼으로서 죽었다. 캐서린의 소유를 갈망하던 히스클리프는 이제 캐서린 린튼으로 시작하는 에드거의 딸을 이용한 복수의 계획을 실천해 간다. 힌들리 언쇼를 자멸하게 함으로써 ‘워더링 하이츠’를 손에 넣은 히스클리프는 린튼가문의 ‘드러시 크로스’마저 손아귀에 넣기 위해 에드거의 여동생인 이사벨라를 유린함으로써 얻은 병약한 아들, ‘린튼 히스클리프’를 앞세워 에드거의 딸인 캐서린을 감금하고, 마침내 자신의 아들과 강제 결혼을 시킴으로써 에드거의 죽음과 함께 모든 재산을 갈취한다.

히스클리프의 이러한 복수는 자신의 사랑을 빼앗긴 연인으로서의 분노 표현이지만 한편으로는 가지지 못하고 소외된 자로서 대지주인 두 집안에 대한 증오의 발현이기도 하다. 그런데 복수를 끝낸 히스클리프는 자신이 가장 혐오했던 가부장의 권위와 물적 자산을 수단으로 하고 있음에, 또한 복수의 성과인 두 집안의 마지막 인물들인 헤어튼 언쇼와 캐서린 린튼의 완벽한 파멸로의 방치가 두 젊은이의 사랑으로 진행되는 것처럼 의도와 다른 형태를 보인다는 점에서 당황한다. 결국 자기 본성에 대한 배반을 자각하는 것이고, 그가 죽은 연인 캐서린의 유령을 보고 급기야는 음식을 거절함으로써 죽음에 이르는 것은 , 산과 자연이자 폭풍이었던 ‘히스클리프’ 자신의 본질로 회귀하는, 감옥이었던 삶으로부터의 영원한 해방, 연인과 함께하는 자유의 초월적 세계로의 선택으로 이해된다.

마지막 장면은 소설의 도입부에서 록우드가 발견했던 세 이름 캐서린에 대한 정리, 즉 ‘캐서린 린튼’에서 ‘캐서린 히스클리프’가 되었다가, ‘헤어튼 언쇼’와의 결혼으로 ‘캐서린 언쇼’가 됨으로써 언쇼와 린튼 집안으로 대별되는 야만과 문명, 권위와 평등, 억압과 자유라는 서로 다른 가치관의 통합, 조화와 균형, 가부장제 속박의 해제라는 결과를 제시한다. 이러한 결말은 이 작품을 에밀리의 남성중심 사회에 대한 야심찬 도전이라 하는데 주저치 않게 한다. 이처럼 고전의 새로 읽기는 전혀 뜻하지 않은 결론을 내게 보여준다. 언제부턴가 나는 내 인생의 거센 폭풍이 잦아들고 있음을 은근히 깨닫는다. 히스클리프의 젊은 날에 휘몰아쳤던 사랑의 열정, 분노와 혐오와 모욕의 세기를 끝내고 평온하게 환상의 그림자를 그려보는 그런 시간을 누릴 줄 알게 되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