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촌

신달자

출판사 민음사 | 발행일 2016년 9월 26일 | ISBN 978-89-374-0847-2

패키지 양장 · 변형판 124x210 · 156쪽 | 가격 9,000원

책소개

한국의 푸른 피, 붉은 역사가 흐르는 600년 고도 서울의 심장 북촌

그 골목 구석구석에 아로새겨진 역사와 문화와 삶

시간과 공간과 사람 사이를 거닐며 부르는 북촌 아리랑

편집자 리뷰

● 제 사는 장소를 사랑하고, 제 사는 시간을 성찰하고, 제 사는 숨결을 노래한 시집

 

신달자 시인의 신작 시집 『북촌』은 2014년 『살 흐르다』 이후 2년 만에 엮은 열네 번째 시집이다. 『북촌』이라는 제목에서 드러나듯이, 이 시집에 실린 70편의 시들은 오로지 ‘북촌의, 북촌을 위한, 북촌에 의한’ 것이다. 갓 스물에 등단하여 반백 년 넘게 시와 함께 흘러온 그녀는, 삶의 고뇌를 섬세한 감성으로 표현하며 우리 문학에서 여성 시의 영역을 개척하고 대표해 왔다. 영랑시문학상, 공초문학상, 김준성문학상, 대산문학상, 정지용문학상 등을 수상했고, 문화예술 발전의 공을 인정받아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 한국시인협회 회장직을 역임했고, ‘2016년 서울국제도서전’에서는 ‘올해의 주목할 저자’로 선정되는 등 시인으로서 누릴 수 있는 영예를 모두 누린 그녀가 두 해 전 가을 북촌으로 이사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북촌로 8길 26, 열 평 남짓 작은 한옥, 그곳에 신달자 시인이 살고 있다. 2014년 가을, 누우면 “발 닿고 머리 닿는/ 봉숭아 씨만 한 방”으로 이사한 첫 밤에 그녀는 새 노트를 펴고 ‘북촌’이라고 썼고, 그것이 이 시집의 시작이 되었다. 그날부터 계동의 골목을, 가회동의 소나무길을 걸으며, 북촌이 가진 역사와 문화와 삶을 가까이 보면서, 한 편 한 편 시를 써나갔다. 그곳의 삶 그 무엇 하나 그녀를 사로잡지 않는 것이 없었다. 북촌에 사는 내내 “온몸의 살과 뼈 피까지 옹골지게도 앓”으며 “누가 맘먹고 호미로 온몸을 조근조근 찢어 대는” 것처럼 아팠지만, 북촌을 써야 한다는 의욕으로 통증을 견디어 냈다. 그런 절실함으로 써낸 이 시집에는 “지상에서 가장 애틋한 언어”이자 “혀가 잘려도 해야 할 말”이 오롯이 담겨 있다.

그녀의 한옥이 얼마나 작으냐 하면, 집은 앵두만 하고, 도토리만 하고, 할아버지 노방저고리 단추만 하고, 외할머니 은가락지만 하고, 대문은 명함 한 장만 하고, 밤톨만 하고, 닭벼슬만 하고, 입술연지만 하고, 마당은 앞니만 하고, 화투장만 하고, 강아지 혓바닥만 하고, 코스모스 두 잎 같고, 방은 봉숭아 씨만 하고, 구절초 한 잎 같고, 참새 눈알만 하고, 새 발자국만 하고, 탱자알만 하고, 열쇠 구멍보다 작다. 그녀는 이렇게 작은 집에서 “쌀 한 톨만 한 하루”를 보낸다. “딱 명함 한 장만 한 대문 위에” 내걸린 ‘공일당(空日當)’이라는 문패에서, 다 비우겠다는, 그래서 새로이 채우겠다는, 비움이 곧 채움이라는 시인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더 낮게 더 낮게” “알몸 알마음으로 흐르”겠다는 다짐이다.

 

혼잣말로 “한지가 너덜너덜 찢어”지고, 눈물 콧물로 벽지가 흉하게 얼룩질 만큼 외로워 “홀로/ 파르르 떤다”. 혼자 사는 두려움에 한옥 섬돌 위에 남자 군용 신발 하나 놓아두었다가 “아침 문 열다가 내가 더 놀라/ 누구지?/ 더 오싹 외로움이 밀려”온다. “한옥 창 열고 먼 곳에/ 불 켜진 창 하나 본다// 저 창 안에 누가 사나?// 더 높은 곳에서 보면/ 나의 창도 아름다울까/ 지상에 가까스로 핀 별꽃처럼/ 아득하게 나도 그리움이 될까” 사무치는 그리움에 “몸을 돌돌 말아/ 뒹굴어 본다”. “물컹한 외로움을 억지로 꿀꺽하는 서러움”을 느끼며 “붉은 고추 널어놓은/ 옆집 한옥 마당에/ 나도 누워 뒹굴면/ 온몸 배어나는 설움 마를까” 생각한다. 그리고 아침에 일어나 “간밤 내 대문 앞을 지나가는 사람의 한숨/ 빈 주머니를 툭툭 털다 간 사람들의 흔적/ 끝내 손을 놓은 연인들의 아쉬움”을 빗자루로 쓸어 낸다.

 

“가난하지만 온몸을 녹여 주는 목욕탕”이 사라지고, “철물점이 사라진다네 딱하게 보이는 이발소도 곧 사라진다네/ 약국도 사라지고 없네/ 위태로운 세탁소는 그저 고마운 것”일 만큼 “계동 골목까지 쳐들어오는 개발 붐”에 몸살을 앓고 있는 북촌에서, “구두 수선 아저씨 신문 배달 학생 참기름집 아줌마 철물절 아줌마”처럼 “낮을수록 사연 많은” 사람들을 만나면서 그녀의 일상이 바뀌기 시작한다. 창으로 스미는 햇살 그림자, 푸릇한 새벽빛, 한옥의 순수한 나무 향, 처마 밑에 꽃피는 빗소리, 흐드러지게 부르는 새소리가 들리기 시작했다. 경복궁과 창덕궁 사이 골목골목에서 만나는 근대사의 유적과 인물들, 그곳에 사는 사람들이 빚어내는 풍경들을 바라보며, “골목으로 들어서 골목으로 돌아돌아/ 다시 골목으로 이어지는” “골목골목이 소곤거리고 계단마다 반짝거리는 햇살”이 부서지는 북촌에서 그녀는 “열 평만 내 것인 줄 알았는데/ 북촌이 다 내 것”이라는 충만함을 느낀다. 그녀는 북촌을 “고향 품” 같고 “엄마 품” 같다고, “내 생의 중심”이자 “내 혼의 종착지”이자 “내 생의 출발 지점”이라고 노래한다.

“느리게 느리게 북촌을 걸으며 되돌아서서/ 걸어온 내 생을” 바라보며, “지난 시간들을 어루만진다”. 그러다 “노후의 계단을/ 시큼하게 본다”. “강을 천 개나 건너”고 “넘치는 생의 해일이” 몇 번이고 그녀를 쓸어 넘어뜨린 고된 삶이었지만, “출렁 철렁/ 그 비릿한 것들/ 질퍽거리던 것들 다 어디 가” 버리고, 지금은 눈물마저 “빈 젖”처럼 “바짝 마른 멸치같이” 말라 버렸지만, “내 몸에/ 어린 발바닥 꼼지락거림이 아직 남아” 있음을 느낀다.

 

“극세공의 필치로 쓴 역사가 있고/ 핏줄을 뽑아 그린 화가의 그림이 있고/ 목숨으로 지킨 나라 사랑이 곳곳에 보일” “단 한마디 아름다움이란 말 놓칠 수 없는/ 북촌”은 “이 골목 저 골목이 모두 역사의 현장”이며, “북촌의 어느 땅이건 다 성지다”. “일제 시대가 흐르고/ 한국 전쟁이 흐르고 새마을 운동 산업화 시대가 흐르고/ 알파고 시대”가 흐르는, “지금도 스치면 불붙는” 뜨거운 피가 흐르는 곳이다. 가장 오래된 것과 가장 새로운 것이 섞여 있는 곳, 북촌. “고요를 만지다가 더 큰 고요로/ 나직하게 침묵의 길을 걸으면서”, “이 집 처마와/ 저 집 처마가/ 닭 벼슬 부딪치듯/ 사랑싸움을 하”는 사람 냄새 풍기는 북촌. “누구라도 아늑하게 마음을 담는”, “누구라도 의지하고 말 터놓고 싶은”, “내 몸보다 더 편안한 곳” 북촌을 노래한 이 시집에서 우리는 “어디라도 손 내밀면 누구라도 만날 수 있는/ 따뜻한 길이 열리는 시간”을 만난다.

북촌은 “구부러지고 휘어지고 절룩이고 삐뚤어지고 입 돌아간 병신들/ 못나고 무식하고 가난하고 마음조차 찾지 못하는 사람들”을 “안아 주고 보듬어 주는 사랑의 피가 도는 곳”이자 “믿음의 꽃 역사의 나무가 출렁이는 기적의 땅”이다. “오늘도 배회하고 헤매고 그리운 것 찾다 지쳐 찾아오는 사람”을 “두 팔 벌려 우리를 기다리는 품이 넉넉한” 곳이 북촌이다. “깨진 마음의 정강이”를 “호오오오 호오오오 불어 주던” “외할머니 그 따뜻한 입김”처럼 “옛다 다 나았다 다시 호오오오 해 주면/ 아픔은 온 적 없이 사라지”는 그곳이 바로 북촌이다.

“나의 대표작은 오늘 밤에 쓰는 시”라고 말하는 그녀는 “온몸을 웃으며 행복해”하며 오늘 밤도 북촌을 시로 담고 있다.

 

● 발문에서

 

신달자 시인이 시인협회장 임기가 지나고 북촌 언저리에 순수 한식의 겸양한 작은 집을 짓고 오신 것을 알았다. 그리고 그 감흥이 컸던지 가라앉기 전에 부지런히 시로 옮기셨다는 말씀을 들었다. 옛날의 지리와 옛 사람의 향기와 옛날의 문장과 시 위에 지금의 풍경과 지금의 향기와 지금 사람의 느낌이 또 한층 아로새겨지는 일은 얼마나 뜻깊은 일이겠는가. 옛 역사에 되비쳐 제 사는 장소를 사랑하고 제 사는 시간을 성찰하고 제 사는 숨결을 노래하는 것이 시인이라는 것을 새삼 되비쳐 주는 시집이 아니겠는가.

—장석남(시인)

 

● 추천의 말

 

두어 해 전 가을, 신달자 시인이 새로 든 북촌의 열 평 남짓한 한옥 집들이에 간 적이 있다. 북쪽 골목으로 난 대문 위로 걸린 ‘공일당(空日堂)’이라는 당호를 보며 다 비우겠다는 그래서 새로이 쌓고 채우겠다는, 아니 비움이 곧 채움이라는 시인의 안온하고 넉넉한 마음을 읽을 수 있었다. 그리고 오늘 시집 『북촌』을 열어 보니 북촌의 크고 작은 삶과 일상들이 차고 넘친다.

경복궁과 창덕궁 사이 골목골목에서 만나는 근대사의 유적과 인물들, 그곳에 사는 사람들과 방문객들이 빚어내는 풍경들이 꽃처럼 흘러들어 공일당 “한옥 처마 밑의 꽃피는 빗소리”로 다시 태어나 있다. “지상에서 가장 애틋한 언어”를 입은 북촌이 시인의 스승 목월이 되고 아버지 어머니가 되고 고향을 품은 지리산이 되어 있는 것이다.

볕 좋은 날, ‘북촌의 솟대’가 된 시인의 시집을 옆구리에 끼고 산책길에 나서야겠다. “골목으로 들어서 골목으로 돌아돌아/ 다시 골목으로 이어지는” 석정 보름 우물터를 지나 몽양의 집터, 만해의 유심터, 가회동 한옥 성당을 서성이다 어느 허술한 찻집에 들어 마음의 길 하나 터야겠다. 그 마음 찬찬히 헤아려 봐야겠다.

—곽효환(시인)

목차

1부

 

북향집

서늘함

한옥의 나무 향

계동 가을

빛의 발자국

붉은 물

계동의 달

헛신발

깊은 밤

내 동네 북촌

공일당(空日堂)

늙은 잠

불꽃

우연이 아니다

한옥 처마 밑에 꽃피는 빗소리

신문

허공 부처

나의 의자들

나도 마른다

음악이 내린다

한옥 처마 밑의 새소리

툇마루

대문 앞 쓸기

인공 눈물

거창을 다녀왔다

덕유산 모산

메르스

오는 봄

독방

독감

북촌 가을

한 말씀

다정이라는 함

구겨지다

조각보 앞에서

신록 큐!

시인의 집

 

 

2부

 

삼청공원

북촌 마을 안내소

유심사 터

북촌의 얼굴

계동 백 년

안국역

계동 무궁화

한옥

계동 아리랑

동림 매듭 공방

가회동 성당 1

가회동 성당 2

재동 백송

인력거

한복 데이트

백인제 가옥

정독도서관

석정 보름 우물터

그 사람, 정세권

숲속 도서관

창덕궁 돌담길

입춘대길

북촌 궁궐 별장

골목 산책

별궁길

삼청공원

북촌8경

흘러라 흘러라 피여!

복수초

성모님의 옷자락

울음이 없다

결혼기념일

호오

텃밭

 

발문|장석남

시간 위에 놓인 계단

작가 소개

신달자

1943년 경남 거창에서 태어났다. 1964년 《여상》 여류신인문학상 수상으로 등단했고 1972년 박목월 시인 추천으로 《현대문학》을 통해 재등단했다. 『열애』, 『종이』, 『북촌』 등 다수의 시집이 있다. 정지용문학상, 대산문학상, 서정시문학상, 만해대상, 석정시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한국시인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은관문화훈장을 수훈했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다.

독자 리뷰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