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작가상

1977년 1회 수상자 한수산을 시작으로 이문열, 정미경 등 한국문학의 거장의 탄생을 함께했고, 2차 개편으로 통해 구병모, 조남주 등의 젊은 작가를 주목한 <오늘의 작가상>이 부분 개편을 통해 오늘의 담보할 수 있는 젊은 작가에게 보다 너른 기회의 장을 제공한다. 이는 한 작가의 문학 세계가 시작됨을 알리는 ‘첫’ 성과에 박수를 보냄으로써 시대의 정신을 예민하게 수렴하는 상의 취지를 분명히 하려는 시도라 할 수 있다. 한국 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생애 첫 단행본에 수여하는 <오늘의 작가상>이 젊은 작가에게는 따뜻한 격려가 되고, 오늘의 독자에게는 겸허한 안내자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당선작: <모나코>, 김기창

노인의 죽음을 결말로 삼지만, 이 소설은 “세상이 늙은이들을 밀어내는 게 아니라 스스로 세계의 변방으로 돌진하는 거야. 단순하지 않은 것은 아무것도 없는 세계로 말이야.”라는 노인의 말에서 드러나듯이 노인이 죽음을 통해 오히려 삶 의 주인이 되는 이야기이자, 가장 단순한 것이 삶의 최고 경지임을 축축하지 않게 그린다. 대화는 철학적이고, 비유는 신선하며, 묘사는 정확하다. — 김미현(문학평론가·이화여대 국문과 교수)

예심 때부터 눈여겨봤던 이 작품은, 심사가 진행되자마자 만장일치로 손쉽게 결정될 만큼 이채롭고 흥미로운 소설이었다. 그 이채로움과 흥미로움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가? 나는 그것이 이 소설 주인공인 노인의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시니컬한 노인은 자신에게 이미 다 사라져 버린 욕망이 다시 꿈틀거리자 거기에 순응하고, 그것에 휘둘리는 모습마저 여과 없이(스스로도 인정하면서) 보여 준다. 그리고 그것을 다시 관조하며 놓아준다. 이런 노인의 태도를 작가는 억지스럽지 않게 생생하고 인상적인 모습으로 그려 냈다. —이기호(소설가·광주대 문창과 교수)

문장에 재능이 있는 사람도 있고 또 이야기를 재미있게 풀어 나가는 사람도 있다. 감각적인 재주가 돋보이는 작품들도 있다. 그런데 그 모든 것들을 뛰어넘는 것은 ‘인간’이 아닐까 싶다. 아무리 재주가 뛰어나 보여도 그 소설의 인물이 진짜 인간처럼 보이지 않는다면 그것은 반쪽짜리 작품일 것이다. 『모나코』를 읽는 동안 나는 이 노인의 주름살을 본 기분이 들었다. 노인의 말투가 오래도록 귓가에 남았다. —윤성희(소설가)

당선작은 『모나코』로 결정되었다. 결과적으로는 예심과 본심에서 본 작품들 가운데 가장 예외적인 작품이 당선된 셈이다.(물론 이것이 소설사의 전체 흐름에서 볼 때도 예외적이라는 뜻은 아니다.) 이런 예외성이 독자들에게는 어떻게 이해되고 받아 들여질지 궁금하다. 당선을 축하하고, 꾸준히 오래도록 쓰기를 바라 마지않는다. —정영훈(문학평론가·경상대 국문과 교수)

신체의 노화와 함께 이제야 욕망을 정면으로 보게 된 이 인물은 최근 종종 등장하고 있는 ‘할배들’과는 다르다. ‘할배들’이 소비의 대상이라면 노인은 욕망과 사유의 주체이다. 그 다름을 발견하고 그려 냈다는 것만으로 가치를 인정할 만하다. 수상을 축하하며, 오래 기억될 작가가 되기를 바란다.—강유정(문학평론가)